사진=울산시청울산시가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취약계층을 포함해 누구나 불편 없이 여행할 수 있는 ‘무장애(Barrier-Free) 관광도시’ 조성에 속도를 낸다.
시는 지난 2021년 관련 조례 제정 이후 관광 접근성 강화를 추진해왔으며,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 공모사업(총사업비 80억 원)에 선정되면서 5개 분야 14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된 실행계획을 본격 가동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국내 최초로 2층까지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친환경 시내 관광버스와 무장애 밴 ‘유비(UV·Ulsan+Minivan)’ 도입이 추진된다. 또 예약 온라인 플랫폼과 QR코드 기반 안내 시스템을 통해 관광객 편의성을 높인다. 오는 10월에는 EBS 특집방송을 통해 청년 장애인들이 ‘유비’를 타고 떠나는 울산 무장애 관광이 전국에 소개될 예정이다.
이달부터는 관광지와 숙박·식음료 업소를 대상으로 회전문 개선, 휠체어 접근 통로 설치, 편의물품 지원, 서비스 교육 등 시설 개선 작업도 진행된다. 대규모 축제 현장에는 경사로, 장애인 화장실, 수유실, 휠체어·유모차 대여 서비스 등을 제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반구대 암각화, 태화강 국가정원 등 주요 관광지에는 무장애 동선이 설계되고, AR·VR 안내 콘텐츠를 통해 정보 접근성도 강화된다. 시는 무장애 관광 추진협의체와 시민 참여형 점검단을 운영해 현장의 목소리도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울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관광객 만족도 제고, 지역 관광산업 고부가가치화, 관광 취약계층 이동권 보장 등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울산이 산업도시를 넘어 문화·관광도시로 도약하는 전환점에 서 있다”며 “스마트 기술과 시설 개선을 병행해 누구나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무장애 관광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