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이틀 앞둔 10월 1일, 경기도 버스노조가 전면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귀성길 교통 대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는 30일 오후 4시,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사용자 단체와 막판 조정 회의를 열고 협상에 나선다. 합의가 불발될 경우, 10월 1일 첫 차부터 경기도 전체 버스 운행의 90%가 멈출 전망이다.
노조는 민영제 노선에서 시행되는 탄력근로제가 하루 17시간 노동을 강제한다며 공공관리제처럼 1일 2교대 전환과 동일 임금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서울 버스노조의 임금인상 요구율(8.2%)에 준하는 수준의 인상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사용자 측은 경영난을 이유로 난색을 표해 합의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경기도는 파업에 대비해 전세·관용버스 381대, 마을버스 연장, 택시 집중 배차, 수도권 전철·경전철 운행시간 연장 등 비상 수송대책을 가동한다. 그러나 전체 버스 1만여 대 중 90%가 멈출 경우, 출퇴근길뿐 아니라 추석 귀성길 교통난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민들 사이에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성남시 분당구에 사는 직장인 김모 씨(35)는 “명절 앞두고 가족들 만나러 가야 하는데 버스가 멈추면 정말 막막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정 결과는 추석 연휴 귀성객 수송뿐 아니라 경기도 대중교통 체계 전반에 큰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