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트먼 CEO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성적 대화나 성인용 콘텐츠를 일부 허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이후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인공지능(AI)의 성적 대상화 가능성과 청소년 접근 통제 문제를 들어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해명에 나섰다.
올트먼 CEO는 15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에 “우리는 세계의 선출된 도덕 경찰이 아니다(We are not the elected moral police of the world)”라며 “성인 이용자를 성인답게 대하는 원칙을 중시한다”고 밝혔다.
그는 “사회가 R등급 영화처럼 적절한 경계를 구분하듯, 우리도 비슷한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며 “AI가 사람들의 삶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수록 이용자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AI를 사용할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이 원칙이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정신건강 위기를 겪는 이용자에게는 동일하게 적용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올트먼은 전날 “12월부터 연령 제한 기능을 완전히 도입해 인증된 성인 이용자에게는 성애물 등 더 많은 콘텐츠 접근을 허용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하지만 해당 발표 직후 이용자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반발이 일었다.
비판자들은 “현실적으로 연령 인증이 제대로 이뤄지기 어렵고, 성적 콘텐츠 노출이 청소년과 정신건강 취약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AI와 인간의 상호작용이 더욱 개인화되는 흐름 속에서, 오픈AI의 결정이 “AI를 성적 도구로 소비하는 문화”를 부추길 수 있다고 경고한다.
반면 다른 측에서는 “이용자의 자율성과 표현의 자유를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