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28일 청년절을 맞아 대대적으로 청년들을 격려하고 치켜세우며 ‘사회주의 수호자’, ‘사회주의강국건설 선봉대’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작 현실의 청년들은 당과 국가, 지도자에 대한 충성심으로 무장하기보다는 돈과 이익을 좇는 데 여념이 없다는 전언이다.
북한 청년절 계기에 주민 생활 전반의 행정을 관장하는 평안남도의 한 지방 인민위원회 간부와의 인터뷰를 진행, 현재 북한의 청년들이 사회와 체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들여다봤다. 이를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대한 청년층의 호응도와 체제에 대한 인식 변화를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었다.
그에 따르면 북한의 청년들은 현재 돈 버는 일을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 돈을 벌어 지원하면 입당(入黨)을 할 수도 있고 좋은 자리도 꿰찰 수도 있어, ‘당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보다는 돈이 먼저’라는 인식이 퍼져있다는 설명이다. 당국은 사회주의 체제를 보위하는 데 있어 청년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청년들은 자본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실제 이 간부는 “아직도 충성심을 보여주고 한자리 따고 싶어 하는 청년들이 있긴 하지만 진실로 충성심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면서 “체제에 대해 생각하기보다 먹고 살 걱정을 하는 청년들이 더 많다”고 말했다. 청년들은 소위 먹고사는 문제, ‘생계’를 위해 겉으로 충성심을 드러내 보일 뿐이라는 이야기다.
아울러 그는 김 위원장에 대한 청년층의 호응도와 관련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체로 그리 높지 않다”며 “죽음이 두려워 좋아하는 척을 하는 것이지 실제로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여전히 북한에서는 수령을 신격화하는 방식으로 최고 존엄에 대한 위대성 선전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료출처=데일리엔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