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 부산광역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와 함께 올해 6월 4일부터 약 1개월간 실시한 ‘낙동강 하굿둑 운영 3차 실증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실시한 두 차례 실험(2019년 6월, 9월)이 단기간 개방 영향을 확인하는 목적이었다면, 이번 실험은 하굿둑을 장기간 개방했을 때의 염분 확산 정도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했다.
* (1·2차 실험) 1시간 이내 1회 개방 → (3차 실험) 1∼3시간 이내 12회 개방
또한 이번 실험은 하굿둑 내측 하천수위보다 외측 바다조위가 높아 바닷물이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이른바 ‘대조기(밀물이 가장 높을 때)’에 바닷물 유입방식을 가정하여 현실과 가까운 실험이 되도록 설계했다.
※ (첫 번째 대조기) 수문을 단시간 개방하여 간헐적으로 바닷물 유입상황 가정
(두 번째 대조기) 수문을 상시 개방하여 장시간 바닷물 유입상황 가정
<</span>하천의 염분 변화>
첫 대조기 기간인 6월 4일부터 8일까지 총 5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수문 1기를 개방하여(30~50분) 총 258만㎥의 바닷물을 유입시켰다.
※ (해수유입) 89만㎥(6.4) → 8만㎥(6.5) → 58만㎥(6.6) → 53만㎥(6.7) → 50만㎥(6.8)
유입된 염분은 밀도 차이에 의해 하천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상류로 이동하였고, 유입 횟수가 반복될수록 하천의 저층에서 염분의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 염분 유입 완료 후 상류 최심부 저층에서 8~10PSU 염분 분포, PSU는 '피에스유‘라고 읽는 실용염분단위로 바닷물 1㎏ 당 녹아있는 염분의 총량을 g으로 나타낸 것
이 기간 중 염분은 최장 11㎞ 지점에서 확인(0.2psu, 6.11)되는 등점차 상류로 올라가는 추세를 보이다가 강우(6.10~6.14)의 영향으로 더 이상 확산되지 않았다.
두 번째 대조기인 6월 19일부터 25일까지 7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총 7회에 걸쳐 614만㎥의 해수*를 다양한 방식**으로 유입시켰다.
* (해수 유입량) 24만㎥(6.19) → 175만㎥(6.20) → 140만㎥(6.21) → 172만㎥(6.22) → 17만㎥(6.23) → 52만㎥(6.24) → 34만㎥(6.25)
** (해수유입 방식) 6.19 : 수문 위로 유입(수문 1기 활용)
6.20 : 수문 위아래로 동시에 유입(수문 2기 활용)
6.21∼25 : 수문 아래로 유입(수문 1기 활용)
이 기간 동안 염분은 최장 12.1㎞ 지점에서 확인(1.68psu, 6.27)되었고, 실험 이후 유입된 염분은 환경대응용수와 강우(6.29~7.1)의 방류 등을 통해 대부분 희석되었다.
<</span>수생태계 조사>
첫 대조기와 두 번째 대조기 사이(6.9~6.18) 기간에는 수문 1기를 위로 열어두어 수문 아래로 바닷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생태소통 가능성을 점검했다.
실험 기간 전·후 하굿둑 상류(4지점), 하류(1지점)에서 조사한 결과, 개방 이후 둑 상류에서 전반적으로 물고기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등어, 농어, 전갱이 등 바다나 기수역에 사는 어류가 수문을 통과해 둑 상류까지 올라 온 것을 확인했다.
< </span>실증실험 기간 상류 4지점 어류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