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픽사베이북한이 최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복구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재가동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정황이 포착됐다고 후루카와 가쓰히사 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 위원이 밝힌 것으로 미국의 소리(VOA)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후루카와 전 위원은 오스트리아 빈의 민간연구단체 오픈뉴클리어네트워크(ONN)에 ‘2021년 12월 이후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상황’ 보고서를 공개하고 “3번 갱도 부근에선 작년 12월부터 차량·인력의 움직임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후루카와 전 위원은 상업용 위성영상을 분석한 결과 풍계리 핵실험장 내 4개 갱도 중 과거 핵실험에 사용된 적이 없는 3번 갱도로 통하는 남쪽 입구에서 활발한 핵실험 사전준비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촬영된 위성영상에서 3번 갱도 남쪽 입구 주변 행정구역 내에서 차량통행 등 활동량이 크게 증가했다.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내에선 행정동 건물을 개·보수하는 움직임도 함께 확인됐다. 후루카와 전 위원은 “이는 북한이 핵실험장 일부를 복구했거나 복구하는 과정에 있음을 보여준다”며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위해 3번 갱도 복구에 나선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핵실험장 남쪽의 지원 시설 주변에서도 눈이 제거된 정황이 드러나 이들 시설이 계속 운영 중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일부를 재가동했거나 재가동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후루카와 전 위원의 평가는 한미 군 당국의 평가와도 일치한다.
국방부는 전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풍계리 핵실험장 복구와 관련해 ‘3번 갱도’ 주변에서 최근 복구 활동으로 추정되는 활동이 식별돼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는 내용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위 관계자에 따르면 국방부는 “갱도 복구는 1∼2개월 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했다. 특히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 기술 검증을 포함한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적 중이라는 설명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울주군치매안심센터,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 개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치매안심센터가 지난 17일 지역사회 치매 및 고위험군 관리 강화를 위해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내년 치매지원사업 변경사항 및 신규사업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참여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울주지사 △서·남..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취약계층 어르신 방한용품 지원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신용석, 정상화)가 겨울철 혹한기를 대비해 18일 지역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희망보따리 겨울 방한용품 지원사업’을 실시했다. 이날 위원들은 취약계층 어르신 가구 31세대를 직접 방문해 총 400만원 상당의 전기매트를 직접 전달하고 안부를 확인했다. 정상화.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 하반기 환경정화활동 실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서억수)가 18일 청량천 일대에서 지역 환경 보호를 위한 환경정화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활동은 청량천을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자연경관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주민자치위원 25명이 참여해 쓰레기를 수거하고, 주변...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역아동센터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김연희, 이종남)가 18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함께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을 실시했다.이번 사업은 평소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접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아동에게 자신만의 케이크를 직접 만드는 경험을 제공하고 세대 간 유대감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