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국토교통부올해 상반기 전국의 건축 인허가, 착공, 준공 물량이 모두 동일 기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26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인허가된 건축물은 총 10만 5천243동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3% 줄었다.
다만 면적 기준으로는 9천275만8천㎡로, 작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다.
지역별 인허가 건축물 수는 수도권(3만 7천678동)이 10.5% 감소했고, 지방(6만 7천565동)은 11.7% 감소했다.
용도별로는 농수산 등 기타용(-29.2%)을 비롯해 주거용(-10.8%), 교육 및 사회용(-9.7%), 공업용(-9.5%), 상업용(-2.7%) 등 모든 용도의 건축 인허가 물량이 감소했다.
전국의 상반기 착공 물량은 작년 동기 대비 13.1% 적은 8만 2천40동으로, 감소율은 수도권(2만 7천233동)이 11.3%, 지방(5만 4천807동)이 13.9%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준공된 전국 건축물은 총 7만 4천145동이고, 연면적으로는 총 5천719만5천㎡로,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건축물 기준으로 7.4%, 면적 기준으로는 6.1% 각각 줄어들었다.
수도권(2천820만5천㎡)의 준공 면적은 1년 사이 7.1% 감소했고, 지방(2천898만9천㎡)은 5.1% 감소했다.
국토부는 "인허가된 동 수는 감소했지만, 면적은 증가한 점으로 볼 때 규모가 큰 건축물 신축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한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상반기 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 활성화가 예상되며, 경기 동행지표인 착공과 경기 후행지표인 준공은 건축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일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안산시, 안산플러스에너지센터 준공식… 열린 에너지 체험 공간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를 체험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 안산의 비전을 함께 나누는 열린 플랫폼 공간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안산시(시장 이민근)는 21일 오전 ‘안산플러스에너지센터(단원구 시화호수로 1035 소재)’ 준공식을 개최하고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 공간의 출발을 알렸다고 밝혔다.‘안산플러스에너지센터...
안산시, 올해 드림스타트 사업 운영 우수 지자체 대통령상 수상
안산시(시장 이민근)는 안산시 드림스타트 사업이 올해 관련 정부 사업 운영평가 결과,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돼 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안산시는 드림스타트 사업을 통해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고자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보건복지부에서 대도시·중소도시 기초단...
장검중, 대한민국 청소년 창업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뉴스21 통신=김보미기자](사진출처=장검중학교) 울산 울주군 장검중학교(교장 박현미) 창업동아리 ‘청류개천’ 팀이 ‘2025 대한민국 청소년 창업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받았다. 이번 대회는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주최하고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주관으로 지난 10월 30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렸다. ...
중구의회 홍영진 의원, “태화시장 주차타워 건립으로 오히려 주차난 심화”
[뉴스21 통신=김보미기자 ](사진출처=중구의회 의정홍보계)울산 중구의회(의장 박경흠) 홍영진 의원이 대체 주차부지 확보 없이 추진되는 태화종합시장의 공영주차타워 건립 공사로 인한 주차난 문제를 지적하고 대안을 주문했다. 중구의회 홍영진 의원은 21일 열린 제278회 정례회 행정자치위원회의 경제문화국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
외솔기념관, 공립박물관 인증’ 획득
[뉴스21 통신=김보미기 ](사진출처=중구청 문화관광과)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에서 운영하는 외솔기념관이 문화체육관광부의 ‘2025년 공립박물관 평가인증’ 심사를 통과해, 개관 이후 최초로 ‘공립박물관 인증’을 획득했다. ‘공립박물관 평가인증제’는 3년 주기로 박물관 등록 후 3년 이상 지난 공립박물관을 대상..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주말 마지막 방송…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안산시(시장 이민근)는 오는 23일 안산시 출신 배구 황제 김연경의 팀 창단기를 그린 MBC ‘신인감독 김연경’의 마지막회가 방영된다고 20일 밝혔다.‘신인감독 김연경’은 프로 무대에서 방출되거나, 프로 진출을 꿈꾸는 실업팀 선수 등 각자의 이유로 ‘언더독’이 된 선수들이 신인감독으로 돌아온 김연경과 함께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