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23년 상반기, 울산 총인구 감소세 둔화
  • 우정석 울산취재본부장
  • 등록 2023-08-07 19:22:01

기사수정
  • 전년 상반기 대비 감소규모 61.9%로 줄어듦
  • ‘직업’순유출 감소, 지속적인 외국인 증가



(뉴스21통신/우정석기자) = 울산시는 2023년 상반기(1~6) 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동 기간에 비해 총인구 감소세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20236월말 기준 울산의 외국인 포함 총인구는 1126,869명으로, 이 중 내국인은 1106,015, 외국인은 2854명으로 집계되었다.

울산 인구는 2016년부터 본격적인 감소기에 접어들었고, 경기 불황과 코로나 상황이 겹치면서 2022년까지 7년간 상반기 인구는 평균 5,976명씩 감소하였으나, 2023년 상반기는 총 2,173명 감소로, 20225,706명 감소와 비교하여 그 규모는 3,533(61.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상반기 총인구 감소 규모가 줄어든 주된 이유를 살펴 보면,

 

최근 17개월 연속 외국인의 지속적인 증가

첫 번째, 최근 17개월간 지속적인 외국인의 증가가 총인구 감소를 완화하는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울산의 외국인은 20232,475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277 증가와 비교했을 때 2,198(793.5%) 늘어난 것이다.

외국인은 동구에서 1,699, 울주군 409, 북구 219명 순으로 증가했다.

지난 1997년 광역시 승격 당시 3,418명이었던 외국인은, 울산 총인구가 정점이었던 2015년도에 26,18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 점차 감소하여 1만 명대로 감소했다가, 최근 외국인의 유입으로 2만 명대를 회복했다.

내국인 직업 순유출 감소, 사망자 수 감소로 자연감소 둔화

두 번째, 사회적 순유출 규모 감소와 사망자 수 감소에 의한 자연감소 둔화로 내국인 감소 규모가 지난 20225,983명 감소에서 20234,648명 감소로, 1,335(22.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사회적 요인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2023년 사회적 순유출 인구는 4,469명으로 20225,567명 순유출 대비 1,098(19.7%) 줄어들었다.

인구가 본격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 지난 20163,749명 순유출 이후로 2017~2022년 연평균 6,814명씩 감소하다가 2023년 가장 적은 순유출 규모를 보인 것이다.

사회적 순유출 규모 감소에 대해 인구이동 사유별로 살펴보면

인구 감소의 주된 사유였던 직업에 의한 순유출이 20231,799명으로 20222,813명보다 1,014(36.0%) 감소했다.

직업으로 인한 전입자 수는 490(5.9%) 증가해 8,793명이었고, 전출자 수는 524(4.7%) 감소한 10,592명으로 나타났다.

다음, 자연적 감소 요인으로, 출생아 수보다 높은 사망자 수로 인해 202330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2514명 대비 210(40.9%) 줄어든 것이다.

주된 원인은 사망자 수의 감소로, 출생아 수가 20232,726명으로 지난 2022 2,856명 대비 130(4.6%) 감소했지만, 사망자 수는 20233,030명으로 20223,370명 대비 340(10.1%) 감소하여, 출생아 수보다 더 큰 감소를 보였기 때문에 자연감소 규모가 축소된 것이다.

위의 분석 결과를 구군별로 살펴보았을 때 주목할 만한 점은, 동구의 인구 추세 개선이다.

동구는 지난 2022년 상반기 915명이 감소했는데, 2023년에는 1,544 증가로, 5개 구군 중 유일하게 증가 추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사유는 외국인의 증가로, 2023년 동구 외국인은 1,699명이 증가했는데 지난 2022490명 증가와 비교해서 1,209(246.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국인 감소 둔화이다. 동구의 내국인은 2023155명 감소했는데, 지난 20221,405명 감소와 비교하여 1,250(89.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분석을 통해 다소 희망적인 인구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인구구조 개선을 위한 지방정부와 기업, 시민들의 노력이 하반기에도 좋은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라고 말했다.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김문근 단양군수, SNS 밴드 홍보 활동 ‘선거법 위반’ 고발당해 충북 단양군의 김문근 군수가 지역 주민으로부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단양군선거관리위원회에 공식 고발됐다.  고발인 A 씨는 최근 단양군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고발장에서 “김 군수가 수천 명의 주민이 가입한 SNS 밴드 ‘단양의힘 김문근’에서 자신의 실적과 업적을 반복적으로 홍보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2. “추석 인사인가, 선거운동인가”…제천·단양 자치단체장 현수막 도 넘었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충북 제천시와 단양군이 곳곳에 내건 현수막이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명절 인사라는 이름을 달았지만, 실제로는 시장과 군수 개인의 이름을 알리기 위한 사전 선거운동용 홍보물이라는 비판이 거세다.제천시청 앞과 각 동 행정복지센터 게시대에는 김창규 제천시장의 이름이 크게 박힌 현수막이 걸렸다....
  3. 안보 대재앙…野 "국민 59%가 등 돌린 방첩사 해체, 누구를 위한 국가 자해인가“ [국회=서민철 기자] 이재명 정부가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를 사실상 공중 분해하는 초유의 조치에 돌입하자, 대한민국 안보의 최전선을 지켜온 예비역들과 정치권의 분노가 임계점을 넘어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30일 국회에서 '방첩사 해체, 간첩은 누가 잡나?'를 주제로 긴급 정책 토론회를 열고, 이번 조치가 국민 여론과 안보 ...
  4. 10월1일, 경기버스 파업시 파주시 비상 수송 대책안(파주시 홈페이지) [뉴스21 통신=추현욱 ]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는 임금인상 등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노사 간 협상을 진행 중이며, 30일 조정회의에서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내달 1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한편 파주시는 다음 달 25일 첫차부터 마을버스 요금을 200원 인상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요금 인상은 지난 2019년 요금 인상 이후 6년 만에 시...
  5. 공포정치의 서막,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는가 【정치=뉴스21통신】 홍판곤기자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구속됐다. 법원은 영장을 발부했고, 검찰은 수사를 진행했으며, 절차는 적법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국민이 목격한 것은 법의 공정한 집행이 아니라 권력의 속도전이었다. 여당은 압도적 의석수로 정부조직법을 단독 처리했고, 야당은 항의 속에 전원 퇴장했다. 이튿날 국무회의.
  6. 김영환 충북지사, 제천 한방엑스포 방문… “도민과 함께하는 행보”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추석 연휴를 맞아 제천에서 열리고 있는 2025 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현장을 찾았다.행사 측은 김 지사를 위해 VIP 전용 주차장을 마련했지만, 그는 이를 이용하지 않고 부인과 함께 일반 관람객 주차장을 선택했다. 이후 행사장까지 도보로 이동하며 시민들과 같은 동선을 공유했다.김 지사의 이번 행보는 ‘...
  7. 엄태영 의원 “문신사법 통과… K-타투 산업으로 성장 기대” 지난주 국회를 통과한 이른바 ‘문신사법’과 관련해 제천·단양 지역구의 엄태영 국회의원이 “늦었지만, 역사적인 변화”라며 환영 견해를 밝혔다.문신사법은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는 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대법원이 ‘의료법 위반’ 판결을 내린 이후 33년간 불법으로 묶여 있었다. 이번 법안 .
역사왜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