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은 7일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와 상임위원장 배분을 위한 회동을 준비 중이다. 다만 추 원내대표가 회동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실제 성사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전날인 6일에도 우 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은 열리지 않았다.
우 의장은 지난 5일 당선 인사에서 “국회법이 정한 기한인 6월 7일 자정까지 상임위원 선임안을 마련해달라”고 여야에 촉구했다. 국회사무처에 따르면 교섭단체인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상임위원 선임 요청 기한은 이날 24시까지다.
국회법 48조 1항은 총선 후 첫 임시회 날부터 2일 이내에 의장에게 상임위원 선임을 요청하도록 하고 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과 상임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다음 주 초 본회의를 열어 표결로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와 운영위원회를 비롯해 최소 11개 상임위의 위원장 자리를 가져간다는 계획이다.
민주당 원내 지도부 한 관계자는 국내 유력 언론사에 “합의가 되지 않았을 때 10일 표결을 생각하고 있다”며 “일단 (상임위) 명단은 제출을 했고 거기에 상임위원장 후보는 11개 상임위를 냈다”고 했다.
여야가 상임위원장 합의를 두고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이어서 결국 본회의 개최의 키를 쥔 우 의장 판단에 따라 전반기 원 구성이 정리될 가능성이 높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의장은 민의의 전당인 국회를 이끄는 수장이지 진영의 전당을 이끄는 사람이 아니고, 정치란 것은 선과 악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런 차원에서 나름대로 우 의장이 합리성과 균형성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