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는 27~29일까지 포항 포은중앙도서관에서 ‘경북 K-스토리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경상북도 제공경상북도가 주최하고 경북문화재단 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경북 K-스토리 페스티벌’이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포항 포은중앙도서관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는‘K-스토리 페스티벌’은 경북 유일의 스토리 콘텐츠 축제로써 지역 창작자와 방송 및 제작사들과의 교류를 통한 지역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K-스토리, 경북을 담다’를 주제로 한 이번 페스티벌은 문화와 역사자원이 풍부한 경북의 우수한 소재로부터 K컬처의 원천인 ‘스토리’가 만들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드라마‘연애의 발견’OST인 ‘묘해, 너와’를 부른 가수 안다은의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한 개회식은 경북도 이정률 정무실장과 이강덕 포항시장, 이동업 도의회 문화환경위원장의 축사와 함께 22회째를 맞이하는 경북 영상콘텐츠 시나리오 공모전 시상, 개회 선포 세리머니 순으로 진행된다.
이어 메인 강연으로 영화‘범죄도시 4’의 각본을 맡은 오상호 작가가 스토리 기획과 대본 집필과정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줄 예정이다.
또한 콘텐츠코리아랩 사업과 연계한 상상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웹툰‘아만자’, ‘DP 개의날’등으로 주목받는 김보통 작가의 특강이 이어지며 웹툰 작가를 꿈꾸는 지역 예비 창작자들과의 만남의 장이 열린다.
특히 행사기간 중 스토리 IP피칭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경북을 소재로 한 지역 작가들의 작품이 국내 유수의 영화·드라마 제작사와 OTT사 관계자들에게 현장에서 공개되어 1:1 비즈니스 미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튿날에는 ‘한국 영화계의 아버지’로 불리는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명예집행위원장과 소설가이자 방송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중혁 작가의 스토리 토크쇼가 진행된다.
이 밖에도 구독자 46만명의 유투브 ‘남도형의 블루클럽’을 운영중인 남도형 성우와의 만남, 애니메이션 ‘빵이 부풀어 오를 때’를 제작한 제작팀과의 대화의 장, 스토리 낭독회 및 웹툰체험 프로그램 등 일반인들을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이 외에도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연계한 웹툰 작품 전시와 역대 경북의 스토리 콘텐츠 작품들을 함께 만나 볼 수 있다. 또한 스토리 IP를 기반으로 제작한 영상 콘텐츠도 상시 관람이 가능하다.
이정률 정무실장은 “잘 만들어진 하나의 이야기는 콘텐츠가 입혀져 컬쳐 브랜드가 되고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발전할 만큼 파급효과가 크다” 며, “경북이 가진 멋진 자연 경관과 풍부한 역사·문화유산이 스토리 콘텐츠로 개발되어 미래 먹거리로 성장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울주군치매안심센터,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 개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치매안심센터가 지난 17일 지역사회 치매 및 고위험군 관리 강화를 위해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내년 치매지원사업 변경사항 및 신규사업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참여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울주지사 △서·남..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취약계층 어르신 방한용품 지원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신용석, 정상화)가 겨울철 혹한기를 대비해 18일 지역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희망보따리 겨울 방한용품 지원사업’을 실시했다. 이날 위원들은 취약계층 어르신 가구 31세대를 직접 방문해 총 400만원 상당의 전기매트를 직접 전달하고 안부를 확인했다. 정상화.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 하반기 환경정화활동 실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서억수)가 18일 청량천 일대에서 지역 환경 보호를 위한 환경정화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활동은 청량천을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자연경관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주민자치위원 25명이 참여해 쓰레기를 수거하고, 주변...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역아동센터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김연희, 이종남)가 18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함께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을 실시했다.이번 사업은 평소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접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아동에게 자신만의 케이크를 직접 만드는 경험을 제공하고 세대 간 유대감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