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기상연구소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기상·기후 연구의 중추를 맡고 있는 기상청 소속 국립기상과학원.
기후변화 예측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상 예보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일하는 공무직 연구원의 정원은 125명.
하지만 올해 8월 기준 인원은 92명으로, 충원율이 70%대에 그쳤다.
연구원을 꾸준히 뽑고 있지만 나가는 사람이 더 많은 탓이다.
3년 전 17명을 채용했지만 같은 해 18명이 퇴사했고, 12명을 뽑은 이듬해에도 13명이 나갔다.
지난해 채용 인원을 25명으로 크게 늘렸는데, 퇴사자 수도 비슷한 수준인 21명으로 같이 늘어났다.
이러다 보니 홈페이지엔 채용 공고가 틈날 때마다 올라온다.
민간 연구소나 기업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가 원인으로 꼽힌다.
또, 서울 등 수도권 근무를 희망하는 퇴직자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상과학원은 당초 서울에 있다가 2014년 제주로 이전했다.
기상청과 기상과학원은 아직 뾰족한 해법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기상·기후 연구 역량이 저하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