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픽사베이북한 양강도 당국이 본격적인 농사철을 앞두고 ‘알곡 증산을 위한 도 농업관리일꾼회의’를 개최했다고 복수의 양강도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다.
양강도 농업부문의 한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1일 “도 농촌경리위원회가 지난달 28일부터 29일까지 농업관리일꾼회의를 개최했다”며 “농장 관리위원장, 기사장들이 참가한 이 회의에서 농업경영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매우 높았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개별적 의견을 제시하는 시간에 삼수군 농업경영위윈회 위원장이 제일 먼저 일어나 ‘노력 공수를 조직생활과 연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발언했다”며 “이를 계기로 회의 참가자들은 너도나도 일어나 농업경영 방법의 문제점들을 비판했다”고 설명했다.
노력 공수와 관련해 “농민들은 시간당 0.125공수씩 하루 8시간 일을 해야 1공수를 받는데 1공수는 하루분의 식량 600그램으로 계산된다”며 “하루 1공수씩 1년에 365공수를 벌어야 가을철에 1년분의 식량 219kg을 현물분배로 받게 된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소식통은 “그런데 지난 3월 초, 농근맹(농업근로자동맹) 중앙위가 학습과 강연회, 생활총화 등 조직생활에 3번 빠진 농민들은 노력 공수 1점씩을 삭감하도록 조치했다”며 “조직생활을 통해 농민들의 통제력을 강화하겠다는 건데 농업간부들의 반발이 심하다”고 지적했다.
또 소식통은 “조직생활에 불성실하면 호상비판, 사상투쟁과 같은 조직적인 처벌방법이 있는데도 굳이 노력 공수(삭감)로 농민들을 협박하고 있다”며 “이런 식으로 노력 공수를 빼앗으면 가을철 현물분배를 받을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되겠냐?”고 반문했다.
울주군치매안심센터,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 개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치매안심센터가 지난 17일 지역사회 치매 및 고위험군 관리 강화를 위해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내년 치매지원사업 변경사항 및 신규사업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참여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울주지사 △서·남..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취약계층 어르신 방한용품 지원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신용석, 정상화)가 겨울철 혹한기를 대비해 18일 지역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희망보따리 겨울 방한용품 지원사업’을 실시했다. 이날 위원들은 취약계층 어르신 가구 31세대를 직접 방문해 총 400만원 상당의 전기매트를 직접 전달하고 안부를 확인했다. 정상화.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 하반기 환경정화활동 실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서억수)가 18일 청량천 일대에서 지역 환경 보호를 위한 환경정화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활동은 청량천을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자연경관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주민자치위원 25명이 참여해 쓰레기를 수거하고, 주변...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역아동센터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김연희, 이종남)가 18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함께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을 실시했다.이번 사업은 평소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접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아동에게 자신만의 케이크를 직접 만드는 경험을 제공하고 세대 간 유대감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
울주군, 도급·용역·위탁사업 담당자 안전보건교육 실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산 울주군이 중대재해 예방과 조직 역량 강화를 위해 18일 문수홀에서 도급·용역·위탁사업 담당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안전보건 확보 의무 이행 관련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라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행할 수 있는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고 담당 공무원 안전관리 관리 역량..
울주지역자활센터, ‘미니룸사업단’ 본격 출범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산울주지역자활센터가 울주군 대표 특산물인 서생배로 디저트를 만드는 ‘미니룸사업단’을 본격 출범한다고 18일 밝혔다. 센터는 이날 이순걸 울주군수를 비롯해 울주지역자활센터장 및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규사업 ‘미니룸사업단’ 개소식을 가졌다. 울산울주지역자활센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