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지시 다음 날인 6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가속도가 붙었다.
해수부는 즉각 이전 추진단을 구성했고 대통령실은 해양수산비서관을 신설하기로 했다.
추진단이 활동하면 이전 규모와 후보지에 대한 물색도 시작한다.
전문가들은 해수부 부산 이전이 해수부 자체의 역할을 키우고 동남권의 조선·플랜트 분야를 육성하는 기회라고 지적한다.
해수부 이전에 가장 큰 걸림돌은 해수부 직원의 약 85%가 "부산 이전에 반대한다"는 점이다.
해수부의 역할과 위상 강화는 직원들의 이전 반대를 설득할 해법이 될 수도 있다.
HMM 부산 이전 해법도 마찬가지.
육상 노조의 반발을 잠재우려면 부산 이전에 따른 유인책을 주고 조직 기능별로 이전 대상을 찾는 것도 한 방법이다.
부산항 북항과 신항, 진해신항 개발은 해양강국을 꿈꾸는 우리나라의 미래다.
단순히, 해수부와 HMM을 넘어 해양·항만·수산 공공기관의 부산 이전 규모를 늘려, '클러스터' 집적 효과를 더 키워야 진짜 해양수도 부산을 실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