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입주를 앞두고 한창 공사 중인 대구의 한 아파트다.
지난달 청약을 진행했는데, 540명 모집에 단 18명만 지원했다.
경쟁률 0.03대 1, 같은 날 수도권에서 진행한 청약에 1순위에만 4만 3천명 몰린 것과 대조되는 성적표다.
수도권과 지방의 극명한 온도차는 미분양 물량으로도 확인된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7천여 가구로 감소세지만, 특히 심각한 건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다 지어 놓은 물량이다.
전국 2만 6천여 가구로 11년 8개월 만에 최대치.
이중 80% 이상은 지방이다.
금융 부담을 못 버틴 일부 건설사는 대규모 분양 할인에 나섰다.
지난해 '1억 할인 분양'을 내세운 대구의 한 아파트, 할인에 나선 지 거의 1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물량은 쌓여 있다.
건설사들은 지방 수주를 최소화하며 겨우 버티는 중이다.
정부가 LH를 통해 악성 미분양 주택 3천 호를 매입하기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누적 물량은 매달 증가하고 있다.
서울과 지방 부동산 시장의 불균형이 심화하면서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한 더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