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7천 원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기록한 계란값.
정부가 수급 안정화를 위해 칼을 빼 들었다.
우선 계란 가격이 오를 뚜렷한 이유가 없다고 보고, 생산자단체인 산란계협회의 담합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가격 결정 구조도 개선하기로 했다.
산란계협회가 각 농가의 흥정에 참고하라며 거래 전에 계란 기준가격을 미리 고시하는 관행을 폐지하고, 정부 산하기관이 실제 산지 거래가격을 매일 조사해 발표하겠다는 거다.
표본 조사인 만큼 조사 가격의 대표성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관건이다.
할인 대책도 쏟아졌다.
계란자조금 등을 활용해 대형마트 납품단가를 한판에 최대 천 원가량 낮추고, 휴가철인 8월까지 460억 원을 들여 돼지고기, 닭고기 등은 40%, 수산물은 최대 50% 할인을 지원하기로 했다.
고등어와 계란 가공품 등은 각각 1만 톤 규모에 대해 0% 할당관세가 확대된다.
당장 체감 물가를 끌어내려 생계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인데, 장기적 효과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