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특수부대가 공개한 북한군 추정 포로 사진. 텔레그램 캡처
엘리자베스 살몬(59)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 군인들이 심각한 식량난과 열악한 환경에 내몰려 가족으로부터 지원받은 음식으로 겨우 생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살몬 보고관은 21일(현지시간) 페루 매체 엘코메르시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내부 상황을 철저히 은폐한 채 군사화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식량난, 의료 위기, 표현과 이동의 자유 침해가 만연하다”고 밝혔다. 이어 “강제적이고 끔찍한 군 복무 과정에서 젊은이들이 음식과 의약품 부족 상태로 버티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일부 북한군은 가족이 보내주는 식량에 의존해 생존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파병 사례에서는 병사의 어머니들이 자녀의 이동 사실조차 알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살몬 보고관은 우크라이나 정부와 접촉해 전장에서 생포된 북한군 포로 상황을 확인했으며,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와 한국 정보기관 등과도 협력해 자료를 수집했다고 덧붙였다. 이 정보는 오는 10월 유엔에 보고서로 제출될 예정이다.
살몬 보고관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우크라이나 전사자를 추모하는 장면을 공개한 데 대해 “병사들을 존중하는 듯한 이미지를 연출했지만, 사실 그들은 전장에 있어서는 안 될 사람들이었다”며 “이는 비극”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2022년부터 북한 인권 상황을 조사하고 있으며, 최근 임기 연장으로 2028년까지 활동을 이어간다. 직접 북한에 들어갈 수 없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탈북민 증언, 위성 데이터, 한국을 포함한 관련국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의 인권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에 직접 가지 못한다고 해서 북한 주민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국제사회에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주된 목표”라고 말했다.
또한 살몬 보고관은 “북한이 국가 차원에서 사이버 범죄 인력을 대거 양성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등에서 관련 사건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며 “신기술을 활용한 범죄 활동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강도도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번 인터뷰는 11~13일 페루 가톨릭대학 민주주의·인권연구소가 개최한 콘퍼런스를 계기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