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사진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5일 오후 시청 회의실에서 이준승 행정부시장 주재로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시행 대비 관광수용태세 점검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부산관광협회, 김해공항, 출입국·외국인사무소, 한국관광공사, 부산항만공사 등 유관기관과 중국 전담여행사, 면세점 업계 등이 참석했다.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제도는 오는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한시 시행된다. 3인 이상 단체로 전담여행사를 통해 입국하는 중국인은 최대 15일간 대한민국 전역을 여행할 수 있다. 제주도는 기존처럼 개별·단체 관광객 모두 30일 무비자가 유지된다.
시는 올해 7월 기준 중국인 관광객 수가 누적 31만 5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난 점을 들어, 이번 무비자 제도가 부산 관광산업에 큰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관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부산관광협회는 안내소 운영과 관광환경 점검을 강화하고, 크루즈 관광객을 위한 셔틀버스와 면세 환급 인력을 확대한다. 김해공항은 중국 노선 확대에 대비해 시설 점검과 중국어 안내를 보강하며, 출입국 사무소는 중국어 통역 인력을 확보하고 심사관 교육을 강화한다. 한국관광공사는 국경절 연휴 위챗페이·알리페이 환대 캠페인을 진행하고, 부산관광공사는 ‘비짓부산패스’ 오프라인 교환처를 수도권까지 확대한다. 부산항만공사는 대형 크루즈 승객을 위한 출입국 편의를 강화하고 선사 대상 마케팅을 확대한다.
부산은 올해 7월 외국인 관광객 200만 명을 최단 기간 돌파하고, 관광지출액 5천558억 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관광 분야에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준승 행정부시장은 “거대한 중국 관광시장이 부산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이번 무비자 제도를 발판으로 외국인 관광객 300만 명 조기 달성을 목표로 부산을 글로벌 관광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제도
✔ 기간 : 2025년 9월 29일 ~ 2026년 6월 30일 (한시 시행)
✔ 체류 : 최대 15일간 대한민국 전역 여행 가능
✔ 대상 :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경우에만 적용
※ 제주도 : 기존처럼 중국인 대상 30일 무비자(개별·단체)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