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베이
한화이글스 등 야구경기 입장권이 한 매당 99 만 원에 판매 게시되고 , 가수 지드래곤 콘서트의 VIP 티켓이 정가의 31 배에 달하는 680 만 원에 판매되는 등 암표 거래가 극성을 부리는 가운데 , 티켓 재판매 플랫폼 ‘ 티켓베이 ’ 를 통한 거래에서 소수의 반복 판매자가 전체 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 상위 1% 판매자가 전체 거래 건수의 40% 를 점유하며 , ‘ 개인 간 거래 ’ 라는 티켓베이의 명분이 사실상 무너졌다는 지적이다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승래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티켓베이의 매출 자료 중 인적사항이 확인된 자료의 2024 년도 총 거래 인원은 4 만 4,160 명 , 총 거래 건수는 29 만 8,253 건이다 . 이 중 거래 건수 기준 상위 1%( 약 441 명 ) 의 거래 건수는 전체의 12 만 2,745 건으로 전체의 41.2% 를 차지했다 . 거래금액은 298 억 원에 달한다 . 상위 1% 의 경우 1 인당 연간 278 장 , 평균 6,700 만 원어치를 거래하 는 셈이다 .
스포츠 경기와 공연 입장권이 판매 시작과 동시에 매진된 뒤 , 티켓베이 등 재판매 플랫폼을 통해 고가에 거래되는 현상은 오래전부터 불법으로 지적되어 왔지만 , 티켓베이 측은 개인 간 자율거래를 단순 중개할 뿐이라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 그러나 이번에 공개된 매출 자료에 따르는 소수 판매자의 반복 · 상습 거래행위가 구조적으로 누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 영리 목적의 ‘ 사업형 거 래 ’ 를 사실상 방조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티켓 중고거래 건수 기준 상위 10%(4,416 명 ) 의 거래 건수는 전체의 74.7%(22 만 3,174 건 ), 상위 20%(8,832 명 ) 는 83%(24 만 8,007 건 ) 에 달한다 . 연간 티켓 중고거래 금액 이 500 만 원을 초과하는 판매자는 2,163 명 , 1 천만 원을 초과하는 판매자도 1,149 명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
티켓베이는 거래금액의 10% 를 수수료로 취하며 , 운영사 팀플러스의 2024 년 도 연간 수수료 수입은 104 억 1,793 만 원에 달한다 . 이를 기준으로 추산하면 , 연간 거래규모는 1,000 억 이상으로 추정된다 .
현행 「 국민체육진흥법 」 , 「 공연법 」 은 다른 사람에게 입장권 등을 상습 또는 영업으로 자신이 구입한 가격을 넘은 금액으로 판매하거나 이를 알선하는 행위를 ‘ 부정판매 ’ 로 규정한다 . 그러나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온라인상 상습 · 영업 판매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단이 없어 , 현재로서는 당사자의 개별 신고 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국세청은 티켓베이를 비롯한 중고거래 플랫폼으로부터 신상정보와 매출내역을 제출받아 , 사업성이 인정되는 판매자에 대해 사업자등록 권고 · 직권등록을 진행하고 부가가치세 · 소득세를 부과하고 있다 .
조승래 의원은 “ 티켓베이는 소수 판매자의 사업성 반복거래를 입증할 수 있 는 매출 자료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 이를 단순 개인 간 거래로 치부하고 있어 현행 법상 부정판매 알선 · 방조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 ” 라며 , “ 국세청이 보유한 매출 정보를 문화체육관광부 , 경찰과 공유해 암표사업자를 적발해야 한다 ” 라고 강조했다 .
* 티켓베이 내 야구 경기 티켓 거래 화면 . 조승래의원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16 일 ( 목 ) 진행되는 국세청 국정감사 증인에 티켓베이 운영사인 팀플러스 대표를 채택했으나 불출석 사유서가 제출된 상황이다 .
조승래 의원은 “ 국회가 티켓베이 운영사 대표의 증인 출석을 요구한 것은 부 정 방지 · 탈세 차단 · 민생 보호라는 목적에 근거한 국정감사 절차에 해당한다 ” 라고 주장하며 , “ 영리 목적 의 티켓 재판매가 조세회피나 불법 이익 취득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 행정당국 간 공조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라고 강조했 다 . 조 의원은 “ 국정 감사 를 통해 티켓베이의 부정판매 방조 실태와 제도 개선 방안을 집중 점검하겠다 ” 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