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양평군청 별관에서는 ‘양평 공흥지구 개발특혜 의혹’ 수사 과정에서 숨진 양평군청 공무원 A씨와 관련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사진=KBS뉴스영상캡쳐)
14일 오후 양평군청 별관에서는 ‘양평 공흥지구 개발특혜 의혹’ 수사 과정에서 숨진 양평군청 공무원 A씨와 관련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현장에는 전진선 양평군수와 전국공무원노조 양평군지부 관계자들이 참석해 특검의 강압 수사 의혹을 제기하고, 추가 피해 방지를 촉구했다.
14일 오후 양평군청 별관에서는 ‘양평 공흥지구 개발특혜 의혹’ 수사 과정에서 숨진 양평군청 공무원 A씨와 관련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사진=KBS뉴스영상캡쳐)
전진선 군수는 “특검 수사로 인해 감당할 수 없는 극심한 고통을 혼자 감내하고 억울함을 호소했던 고인을 지켜주지 못했다”며 “공흥지구 개발사업은 이미 무혐의 불송치된 사건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고인이 남긴 자필 메모에는 ‘강압, 억압, 멸시, 회유’ 같은 단어가 수없이 적혀 있었다”며 “아직 조사를 받고 있는 다른 공직자들의 인권과 정당한 권리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배 전국공무원노조 양평군지부장은 “심리적 압박이 사망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음에도 특검 측은 언론을 통해 강압 조사 사실을 부인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행태가 계속된다면 제2, 제3의 희생자가 발생할 수 있다”며 “고인의 죽음을 정치적 이해관계로 이용하려는 움직임은 유가족과 동료의 아픔을 외면하는 비윤리적 행위”라고 덧붙였다.
한편 A씨의 변호인 박경호 변호사는 이날 별도의 기자회견을 열고, 고인의 피의자신문조서에 실제로 하지 않은 진술이 포함돼 있었다고 폭로했다.
박 변호사는 “조서 마지막 2쪽에 다른 피조사자의 진술이 그대로 옮겨져 있었고, A씨가 ‘예’라고 답한 것으로 기록돼 있었다”며 “심야 조사도 서면 동의 없이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서 열람 후 수사관들을 직권남용과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로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씨는 지난 2일 특검 조사를 받은 뒤 10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사망 전 자필 메모에서 “특검의 회유와 압박이 있었다”고 적었으며, 지인들에게도 비슷한 심정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영결식은 14일 오전 양평군청 주차장에서 엄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