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 (사진=국립국어원 제공)
남북한이 함께 만드는 ‘겨레말큰사전’이 단순한 언어사업을 넘어, 서로의 체제와 문화를 존중하며 공존을 모색하는 통합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23일 서울 중구 서울시립미술관 세마홀에서 ‘남북한 사전 비교와 토착어로 문학 하기’를 주제로 ‘제6회 유네스코·겨레말큰사전 국제학술포럼’이 열렸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영상 축사에서 “20년 전 통일부 장관 시절 가장 보람 있었던 일은 개성공단 연결과 겨레말큰사전 편찬사업을 시작한 것”이라며 “말의 통일은 뿌리의 통일”이라고 강조했다.
김정태 충남대 교수는 “남북의 언어는 체제와 이념이 달라도 언중의 언어 감각은 유사하다”며 “‘자본주의’, ‘공산주의’, ‘어버이’처럼 특정 체제에서만 쓰이는 단어 차이를 서로 조율하는 것이 사전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김병문 연세대 부교수는 “겨레말큰사전은 서로의 언어를 배척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공존하게 하는 사전”이라며 “남의 ‘거위’와 북의 ‘게사니’, 남의 ‘맷돌’과 북의 ‘망돌’이 함께 존재한다는 점이 상징적”이라고 말했다.
변영수 편찬사업회 부장은 “이 사전은 통일 이후의 어문규범과 문법 제정의 기초가 될 것”이라며 “공동 편찬 과정 자체가 남북 학문 교류의 귀중한 자산”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포럼은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가 주최·주관하고, 통일부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후원했으며, 유네스코 본부도 협력 기관으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