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KBS뉴스 영상캡처
북한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스마트폰과 PC를 초기화해 장악한 뒤 주변 지인들에게 악성코드를 무차별 전송하는 공격이 현실화됐다.
지난 9월 북한 인권운동가 A 씨의 스마트폰이 초기화되면서 연락처 등 모든 데이터가 삭제됐다. 이어 A 씨의 SNS 메신저 계정을 통해 지인들에게 악성코드가 퍼졌다.
국내 보안업체는 해킹 배후로 북한 해커 그룹 ‘코니’를 지목했다.
장기간 A 씨의 스마트폰과 PC에 침투해 구글 등에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위치 정보와 웹캠을 활용해 피해자의 동선을 실시간 확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인들과의 연락까지 차단해 2차 피해를 유발했다.
순천향대 염흥렬 교수는 “일시에 공격이 감행될 경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개인이나 조직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단계 인증을 적용하고, 비밀번호 자동 저장을 피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중구, 하반기 종갓집 정책자문단 안전도시분과 회의 개최
뉴스21통신 동영상 등록 방법

목록으로
중구, 하반기 종갓집 정책자문단 안전도시분과 회의 개최
중구,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대상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실시
한-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공동 추진...“초기 투자 규모만 30조”
정부, 4000억원 론스타 국제분쟁 승소…론스타, 韓 소송비 73억원 지급해야
정읍시,케이팜 박람회서 귀농귀촌 분야 대상
광산구, 대규모 수질오염사고 대응 민관 합동 훈련 실시
울주지역자활센터, ‘미니룸사업단’ 본격 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