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제천과 수원 광교 등에서 큰 화재가 연이어 일어나는 가운데 서울지역에서 진관·관악·양재 지역이 소방환경 취약지역으로 지목됐다.
‘데일리안’이 입수한 ‘서울시 화재사고 현장대응성 강화를 위한 소방력 운용 개선방안’에 따르면 소방환경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현장대응이 가장 취약한 지역은 진관 119안전센터로 분석되었으며, 관악, 양재, 돈암, 영동 순으로 분석됐다. 1순위는 인구, 물리·시설, 교통, 사회·경제 요인이 상대적으로 가장 열악한 지역이다.
소방환경 측면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분석된 진관 119안전센터의 경우, 법적으로는 소방인력 부족지역은 아니지만 신소방력 기준에서 위험지수는 9 그리고 B등급으로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됐다.
해당 119안전센터의 취약한 3~4곳의 지점을 직접 방문하여 취약지역을 검토한 결과 소방대응 취약 요인으로는 낙후 건물 및 환경, 매우 좁은 이면도로, 경사로, 막다른 길, 일방통행, 소방차량 진입 불가 지역, 불법 주·정차, 적치물, 교통 정체 등으로 파악됐다.
이런 요인으로 화재 황금시간 5분을 초과해 출동대가 도착한 경우 평균 사상자 수는 두 배 이상증가하고 재산 피해액도 급증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원종석 안전환경연구실 연구위원은 “연구위원은 서울의 화재 피해 특성은 건물특성과 유동인구가 중요하다”며 “난방기구와 조리용 기구에 빈도가 높은 주택 및 음식점에 주의가 필요하고 오후 3시에 빈발하는 것은 유동인구의 피해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대도시 소방환경에서 중요한 교통정체 구간을 파악하고 주간 화재나 구조 대상 파악을 위한 유동인구 밀도도 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적정출동 수준, 소방환경·소방력 취약지역 및 사다리차 지원 필요성을 기준으로 개선지역을 구분해 소방력 운용 개선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전했다. 현장대응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소방력을 확충하거나 지원을 받아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고, 지역환경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