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국 녹조발생 현황 및 전망 - 현재 상수원 본류는 낙동강 외에는 조류경보 기준 이하로 출현 - 다만, 폭염 지속에 따라 일부 정체수역에서 녹조 현상 발생 중이며, 예년의 … - 폭염에 따른 녹조 확산에 대비하여 먹는물 안전대책 철저 김흥식 본부장/환경부 출입기자
  • 기사등록 2018-07-26 18:44:18
기사수정


▲ 낙동강 8개 보현장 사진 (7.23일)


환경부(장관 김은경)723일 기준으로 녹조(남조류) 발생상황을 분석한 결과, 남조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상수원 본류의 경우 낙동강 2(강정고령, 창녕함안) 제외하고는 조류경보 기준* 이하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 남조류 과잉발생에 대비하여 조류경보 운영중(전국 주요 상수원친수활동구간 28개소)

 

다만, 유속이 느리고 수온이 높은 환경에서 잘 자라는 남조류 특성상 하천호소의 가장자리나 물 흐름이 정체된 보() 구간 등에서는 과도하게 개체수가 늘어나는 녹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상수원 본류에도 녹조가 확산될 우려에 대비하여 먹는물 안전 등 분야별 대책을 철저히 이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 </span>조류경보지점 분석 결과 >

 

723일자 조류경보제 운영지점(전국 28개소)에 대해 주간 남조류 분석 결과, 낙동강 강정고령(고령취수장 상류 2km)과 창녕함안(칠서취수장 상류 4km) 지점에서 유해남조류수*가 전주 대비 증가하여 조류경보 관심기준을 1회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남조류 중에서 독성물질 생성 잠재력이 있는 4개 속()을 지정관리중(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배나, 아파니조메논, 오실라토리아)

 

낙동강의 경우 장마가 종료된 이후 체류시간이 지속적으로 늘어나(7월 넷째주 강정고령보 19.7, 창녕함안보 10.1) 남조류 증식에 유리한 환경이 지속되면서 다음주 강정고령, 창녕함안 2곳은 조류경보 관심기준을 재차 초과하여 올해 들어 2번째* 경보가 발령될 것으로 예상된다.

 

* 강정고령 관심’(6.27.7.11.), 창녕함안 관심’(6.146.27) 경계’(6.287.11)

 

유해남조류 측정결과(단위: 세포수/mL)

 

조류경보 지점

채수일자

72

79

716

723

강정고령

(고령취수장 상류 2km)

375

28

820

6,070

창녕함안

(칠서취수장 상류 4km)

27

49

337

1,120

(조류경보 발령기준) 2회 연속 기준초과 시 경보발령

- 1단계(‘관심’): 유해남조류 1,000세포수/mL 이상

- 2단계(‘경계’): 유해남조류 10,000세포수/mL이상

- 3단계(‘조류대발생’): 유해남조류 1,000,000세포수/mL이상

 

이외 26곳 중에서 분석이 완료된 팔당호, 대청호, 진양호 등 14에서는 유해남조류가 전주 대비 소폭의 등락이 있는 가운데 모두 경보기준(1,000세포수/mL) 이하로 나타나 양호한 상황을 보였다.

 

726현재 분석이 진행 중* 나머지 12곳의 경우 분석이 완료되는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정보시스템(http://water.nier.go.kr) 결과를 신속히 공개할 예정이다.

 

* (남조류 분석과정) 채수, 관련 전공자가 현미경으로 검경(檢鏡), 남조류세포수 계수 순으로 이뤄지며, 채수지점과 분석기관 거리에 따라 약 24일 소요

 

< 4</span>대강 보() 분석 결과 >

 

4대강 16개 보 대표지점(보 상류 500m)에 대해 723일자 주간 분석 결과, 낙동강 8개 보는 모두 유해남조류수가 전주 대비 대폭 증가하여 조류경보 관심기준(1천셀/mL) 이상으로 나타났다.

 

최소 2,089/mL(칠곡보)최대 34,269/mL(창녕함안보)

 

금강의 경우 개방폭이 큰 세종보(유해남조류 미검출), 공주보*(유해남조류 860/mL)는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나, 개방폭이 작은 백제보**는 유해남조류수가 4,690/mL로 조류경보 관심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 수문 완전개방상태이나, 하류 백제보 영향으로 목표수위에는 미도달

 

** 관리수위 4.2EL.m, 7.25일 기준 수위 3.98EL.m (0.22EL.m)

 

영산강의 경우에도 개방폭이 큰 승촌보(유해남조류 467/mL)는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 하류의 죽산보는 일부 개방중이나 제한적인 개방*으로 인해 여전히 깊은 수심(5m 내외)을 유지하고 있어, 긴 체류시간(73주차 10.2)과 점차 높아지는 수온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유해남조류가 71,700세포수/mL로 크게 증가하였다.

 

* 7.25일 기준 관리수위(3.5EL.m) 대비 2m 가량 수위를 저하하여 하한수위 유지중(1.48EL.m), 최저수위는 1.35EL.m

 

한편, 올해는 짧은 장마로 인해 4대강 수계 전반에서 체류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죽산보는 보 일부 개방에도 불구하고 과거 3개년 동기간 대비 가장 긴 체류시간을 나타내고 있어 녹조 증식에 유리한 환경을 보이고 있다.

 

<’15</span>’18 금강·영산강수계 2개 보 78월 주차별 체류시간 비교>

연도

7

8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세종

‘15

1.0

0.9

1.1

0.4

0.8

1.0

1.2

1.2

1.1

-

‘16

0.1

0.2

0.3

0.7

-

0.8

1.1

1.2

1.0

-

‘17

0.2

0.2

0.2

0.4

-

0.4

0.8

0.3

0.1

0.3

‘18

0.04

0.2

0.3

0.3

-

-

-

-

-

-

공주

‘15

2.5

2.1

2.5

1.0

1.8

2.4

2.9

3.1

2.6

-

‘16

0.2

0.6

1.0

1.9

-

1.9

3.0

3.3

2.5

-

‘17

0.6

0.3

0.5

0.9

-

1.0

1.8

0.5

0.3

0.6

‘18

0.1

0.3

0.7

0.7

-

-

-

-

-

-

백제

‘15

3.9

3.3

3.7

1.2

2.4

3.4

4.4

4.8

4.0

-

‘16

0.3

0.9

1.2

2.4

-

2.4

4.2

4.6

3.4

-

‘17

0.8

0.6

0.7

1.4

-

1.5

2.4

0.7

0.4

0.9

‘18

0.3

1.8

4.1

4.9

-

-

-

-

-

-

승촌

`15

5.1

2.7

2.6

3.6

4.3

7.1

5.5

3.6

5.0

-

`16

1.0

2.9

6.4

8.8

-

4.7

5.1

5.8

4.2

-

`17

4.1

4.3

4.2

9.4

-

4.1

8.3

3.7

1.1

3.6

`18

0.6

2.4

3.5

-

-

-

-

-

-

-

죽산

`15

10.4

4.7

4.5

7.0

12.1

10.3

9.6

6.5

8.6

-

`16

2.1

4.2

7.4

52.5

-

7.3

7.4

8.6

18.3

-

`17

4.7

6.7

7.6

16.8

-

7.7

13.3

6.1

1.5

8.4

`18

1.8

6.3

10.2

-

-

-

-

-

-

-

 

< </span>기타 녹조우심지역 분석 결과 >

 

한편, 하천·호소의 가장자리 등 유속이 느리고 물 흐름이 정체된 수역에서는 남조류가 증가하여 녹조 알갱이 또는 녹조띠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대청호 수계의 경우 담수호 내 문의·추동·회남 지점에서는 유해남조류 개체수가 1천셀/mL 이하로 조류경보 기준 이하인 반면, 유입지류인 추소 지점은 수체가 정체된 특성상 유해남조류가 14천셀/mL(7.23. 채수)로 나타나 10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초분광영상이란?) 남조류 고유의 색소(피코시아닌)를 탐지하는 초분광센서를 활용해 면() 단위 남조류 분포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법(청색황색적색 순으로 남조류 농도가 높음)

 

< </span>녹조(남조류) 증가 원인 및 전망 >

 

남조류는 유속이 느리고 인과 질소와 같은 영양물질이 많은 환경에서 수온이 25이상으로 높아지고 일사량이 많아지면 왕성하게 자라는 특성이 있다.

 

올해는 장마가 짧아* 유량유속 증가 효과가 오래가지 못하였고, 이어서 폭염과 강한 햇빛이 내리쬐면서 정체수역을 중심으로 남조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 (장마기간) 중부지방 16, 남부지방 14일로 평년(32)의 절반 수준(기상청, ’18.7.17)

 

일반적으로 녹조(남조류)는 장마 종료후 약 5~6주 뒤에 체류시간이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기와 맞물려 최대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올해의 경우 장마가 711일자로 종료되었고, 기상청 중기예보(‘18.7.25.)에 따르면 최소 8월 초순까지는 비가 없는 폭염이 지속 것으로 전망되므로 남조류가 증식을 거듭하여 8월 중순경 최대강도로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 </span>녹조(남조류) 대응현황 >

 

환경부는 지난 524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 오염유입 차단을 통한 녹조발생 완화, 철저한 정수처리로 먹는물 안전을 확보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남조류가 대량 증식하여 녹조현상이 자주 나타나는 낙동강 본류와 대청호의 경우 오존·입상활성탄을 활용하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거나 복류수·심층취수 및 분말활성탄 추가투입을 통해 녹조로부터 먹는물 안전을 담보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낙동강 본류) 21개 정수장 중 18개 정수장은 고도처리시설 완비, 상류 3개 정수장(풍양, 지보, 도남) 복류수(하천호수의 바닥 모래층 밑을 흐르는 맑은 물) 취수

 

(대청호) 10개 정수장 전부 심층취수(1020m)로 조류영향 차단, 그 중 3 정수장은 고도처리시설도 완비

 

송형근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올해는 장마가 짧아 물 흐름이 일찌감치 느려지고 폭염이 지속되면서 녹조가 피기 쉬운 여건이라며, 비록 녹조 관리에 어려운 여건이지만 가축분뇨 등 녹조를 일으키는 오염물질 유입을 최소화하고, 상류댐의 환경대응용수를 활용하여 녹조를 씻겨내리는 비상조치도 강구하여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703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시장, “집중호우 대비. 아산시만의 물관리 대책 수립” 지시
  •  기사 이미지 인주면 대윤사, 부처님 오신 날 기념 청소년에 장학금 수여
  •  기사 이미지 아산시보건소, 스마트기기 활용 어르신 건강관리 서비스 확대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