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김은경)는 9월 3일 기준으로 녹조(남조류) 발생상황을 분석한 결과, 8월 폭염기간에 대량 발생했던 녹조가 제19호 태풍 ‘솔릭’(8.23.~24.)과 이어진 호우* 등의 영향으로 하천구간을 중심으로 크게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 8월 23일∼9월 3일간 전국 평균강수량 282.6mm로 평년 대비 2.5배
8월 넷째주 기준 10곳이었던 상수원 조류경보*(‘경계’ 2곳, ‘관심’ 8곳)의 경우 9월 6일 현재 5곳에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이다. 4대강 16개 보는 남조류가 대폭 감소하여 대부분의 보(13개 보)에서 조류경보 ‘관심’ 기준(유해남조류수 1천셀/mL)을 밑돌았다.
* 남조류 과잉발생에 대비하여 조류경보 운영중(전국 주요 상수원‧친수활동구간 28개소)
- 다만, 대청호, 영천호, 안계호 등 일부 호소는 강우로 인한 녹조 개선효과가 미미하거나, 지류로부터 영양물질, 남조류가 유입되면서 반등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당분간 4대강과 팔당호 등 물 흐름이 빠른 호소에서는 녹조 발생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 대청호 등 물 흐름이 느린 호소에서는 호우기간에 누적된 녹조(남조류)가 재차 나타날 우려가 있다.
- 또한, 예년의 사례에 비춰볼 때 유량‧유속이 줄어드는 9월 중순 이후에 물 흐름이 상대적으로 느린 낙동강에서 녹조가 다시 나타날 가능성도 우려된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지자체와 함께 오염원 관리를 강화하고, 정수장 현장점검을 지속하는 등 녹조 발생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
< </span>상수원‧친수구간 조류경보지점 분석 결과 >
9월 첫째주 조류경보제(전국 28개 수역) 운영 결과, 총 5곳(광교지, 강정고령, 창녕함안, 운문호, 대청호)에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이다.
【8월 넷째주~9월 첫째주 조류경보 발령 현황】
구 분 | 8월 넷째주 (10곳) ※ 8.20. 분석결과 | 8월 다섯째주 (8곳) ※ 8.27. 분석결과 | 9월 첫째주 (5곳) ※ 9.3. 분석결과 | |
한강 수계 | 팔당호 (삼봉) | ‘관심’ (1,329셀/mL) | ‘관심’ (269셀/mL) | 경보해제 (0셀/mL) |
광교지 | ‘관심’ (2,800셀/mL) | ‘관심’ (1,387셀/mL) | ‘관심’ (1,733셀/mL) | |
낙동강 수계 | 칠곡 (보 상류 22km) | ‘관심’ (4,310셀/mL) | ‘관심’ (313셀/mL) | 경보해제 (143셀/mL) |
강정고령 (보 상류 7km) | ‘관심’ (474셀/mL) | ‘관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