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6월 20일 15시를 기해 낙동강 창녕함안 구간(창녕함안보 상류 12km)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매주 이뤄지는 조류 측정 결과, 창녕함안 구간에서 ‘관심’ 단계 발령기준(2회 연속* 유해남조류 1,000세포수/mL)을 초과하여 경보를 발령하게 되었다.
* 6.10, 6.17 채수 시료(채수 후 현미경 분석 및 자료 확정에 2∼3일 가량 소요)
해당 구간은 5월 중순까지 잦은 강우로 조류 번식이 정체되다가, 6월 들어 본격적으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남조류가 증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주요 조류경보지점 유해남조류 측정결과 (단위: 세포수/mL)】
구 분 | 채수일자 | 경보발령 | ||||
5.27일 | 6.3일 | 6.10일 | 6.17일 | |||
칠곡 (보상류 22km) | - | - | - | - | - | |
강정고령 (보상류 7km) | 435 | 354 | 579 | 1,490 | - | |
창녕함안 (보상류 12km) | 106 (수온 22.2℃) | 226 (수온 24.3℃) | 4,275 (수온 23.8℃) | 9,145 (수온 25.3℃) | ‘관심’ 발령 (6.20일 15시) |
※ (조류경보 발령기준) 2회 연속 기준초과 시 경보발령
- 1단계(‘관심’) : 유해남조류 1,000세포수/mL 이상
- 2단계(‘경계’) : 유해남조류 10,000세포수/mL이상
- 3단계(‘조류대발생’) : 유해남조류 1,000,000세포수/mL이상
조류경보는 과거 낙동강 지역을 시작으로 5월말에서 6월초 사이에 최초 발령되었는데 올해는 최근 5년 내 가장 늦은 시기*를 기록하였다. 이는 수온이 남조류 최적성장구간(25℃내외)에 다소 늦게 도달하여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14) 6.3. 창녕함안, (’15) 6.2. 창녕함안, (’16) 5.31. 창녕함안, (’17) 6.7. 강정고령, (’18) 6.14. 창녕함안
창녕함안과 강정고령 구간의 경우 예년 비슷한 시기에 비해 남조류 발생*이 감소되었으며 나머지 구간도 현재까지 양호한 상태(관심 단계 미만)를 유지하고 있다.
* ‘18.6.18 낙동강 지역 창녕함안(16,424세포수/mL), 강정고령(2,284세포수/mL)
한편 조류경보제와 별개로 4대강 16개 보 대표지점(보 상류 500m)에 대해서도 수질과 조류 발생현황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있는데, 낙동강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의 경우 올해는 6월 20일 현재까지 남조류가 출현하고 있지 않다.
경보발령에 따라 창녕함안 구간을 주관하는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인접 지자체와 취‧정수장 관리기관 등 관계기관에 발령상황을 즉시 전파하고 환경기초시설 적정 운영, 오염원 점검 및 정수처리 강화 등 녹조대응 조치를 요청했다.
환경부는 창녕함안보 인근 및 하류지역의 10개 정수장*에 완비된 고도정수처리시설(활성탄‧오존처리)을 활용하여 유해남조류, 조류독소,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