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강원도‘인제 한계산성’사적 지정 예고 - 험준한 지역에 쌓은 13세기 입보산성으로 대몽고 승전지 정용권 특별취재본부 사회2부기자
  • 기사등록 2019-07-24 15:17:36
기사수정




강원도 인제군에 있는 인제 한계산성(寒溪山城)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됐.

 

인제 한계산성은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설악산 천연보호구역과 국립공원 내에 자리한 유적으로, 한계산(해발고도 1,430.4m)을 중심으로 동남쪽과 서남쪽으로 흘러내린 자연적인 암벽지대를 활용해 부분적으로 성벽을 구축하였다.

 

13세기경 축조된 한계산성은 입지와 양상을 볼 때 시대변화에 따른 확장 성벽이 연장된 구조가 잘 나타난다. 성벽과 별도로 축조된 돈(墩堠) 시설물을 갖추고 있어 몽골 침략에 맞서 사용한 입보산성(入保山城)을 알 수 있으며, 평면구조와 축성방식, 부속시설물의 변화양상을 살필 수 있는 대표적인 중세시기 산성이다.

 

* 돈후(墩堠): 토축 또는 석축벽을 쌓아서 만든 파수보는 망대

* 입보산성(入保山城): 들어가서 지키는 산성

 

산성의 둘레는 약 7에 달하며 상성(1.7~1.9)과 하성(5~6)으로 구분되는데,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에서도 이미 상성과 하성의 존재가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상성은 몽골 침입에 대비해 사용하던 곳이며, 하성은 후대에 반()원정책 추진을 하면서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쌓은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상성은 현재 남한 내에서도 매우 험준한 곳에 축조된 산성으로 알려져 13세기 험준한 곳에 주로 형성했던 산성들의 전형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한 상성과 하성 시굴조사 결과, 고려~시대의 다양한 유구와 유물을 확인하였다. 상성에서는 총 15개소의 구들 건물지, 부분적으로 남아 있던 성벽 기저부(基底部)를 확인하였고, 청자와 도기 조각 등이 나왔다. 하성에서는 총 18개소의 건물지와 至正十八年(지정십팔년)’(1358, 공민왕 7) 기와 조각, 백자조각 등이 나와 한계산성이 13세기 축조된 이래 고려 말에 다시 대대적으로 보수 또는 증축(혹은 개축)되어 조선 시대까지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 상성과 하성에서 나온 건물지 유구와 유물들은 시대별 다른 양상으로 한계산성 활용시기 등에 대한 객관적인 고고학적 자료로 판단된다.

 

인제 한계산성은 고려 시대 몽골과의 항전지이자 승전지로서,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9992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아산署, 기동순찰대·자율방범대와 범죄예방 합동 순찰 실시
  •  기사 이미지 아산시, 에드워드코리아 두 번째 공장 준공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시장 “시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소홀함 없어야…”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