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전국 2,031개 하천의 3,039개 지점*을 대상으로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주기 조사결과를 종합‧평가하여 하천의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를 공개했다.
* 3,039개 지점: 본류 171개(5.6%), 지류·지천 2,219개(73%), 기타 수계 649개(21.4%)
평가결과 대광천(섬진강 권역), 지우천(낙동강 권역), 금계천(한강 권역), 북창천(금강 권역) 등 172개 하천은 모든 항목에서 좋음(B) 등급 이상을 받은 반면, 굴포천(한강 권역), 석남천(금강 권역) 등 30개 하천은 모든 항목이 나쁨(D) 등급 이하로 나타났다.
수생태계 건강성은 수질, 수량과 함께 하천이 얼마나 지속가능한지를 평가하는 지표다.
수생생물 분야에서는 어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하 저서동물),부착돌말류 등 3개 항목에 대해, 하천환경 분야에서는 수변식생, 서식및 수변환경 2개 항목에 대해 현황을 조사한다. 수변식생항목은6년을1주기로 조사하여 이번 평가에서는 제외됐다.
평가는 항목별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매우 좋음(A)’부터 ‘매우 나쁨(E)’까지 5개 등급*으로 건강성을 매기게 된다.
* 매우 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매우 나쁨(E)
< </span>하천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분석 >
5대강 수계의 1,544개 하천*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조사지점으로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홍수 또는 건천으로 조사가 불가능하여 일부 도는 전체 항목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하천 45개 제외
가리산천, 지우천, 괴목동천, 대광천 등 172개 하천은 수생태계 건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생태계 건강성이 우수한 하천은 주로 유역 상류의 고도가 높은 산지형 하천으로 유역 내 토지가 비교적 자연성을 보존한 경우가 많았다.
※ 유역의 토지가 도시 및 농경지로 이용이 높은 유역내 하천 1,187개, 유역의토지이용이 적어 자연성이 보존된 유역내 하천 357개로도 구분해 평가
이에 따라 오염물질 유입이 적어 수질이 양호하고, 흐르는 물을 좋아하는 유수성(流水性) 종의 비율이 높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등급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반면 수생태계 건강성이 나쁜 하천은 굴포천, 범어천, 석남천, 세하천등 30개로, 모두 유역 내 토지는 도시나 농경지로 이용이 높은 하천이었다.
이들 하천에는 생활하수 또는 농경지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과 빗물의 지하 침투를 막는 도로와 건물 등 불투수성 인공구조물로 인해 비가 내릴 경우 비점오염물질의 하천 유입이 높았다. 농업용보 등 하천 횡단구조물로 인한 어류 이동제한 및 유속저하, 진흙 등의 퇴적으로 수생생물의 서식여건도 악화되어 수생태계 건강성에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대강 수계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수계의 경우 442개의 하천 중 수생태계 건강성이 우수한 하천은 22개, 나쁜 하천은 41개로 나타났다.
기타 수계의 하천 역시 유역의 토지이용 정도, 농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원 유입, 하천 횡단구조물 등이 수생태계 건강성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span>항목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분석 >
4개 항목별(어류, 저서동물, 부착돌말류,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결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등급이 좋음(B) 등급 이상인 지점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어류 및 저서동물은 각각 53%, 52%였으며, 부착돌말류와 서식 및 수변환경은 이보다 낮은 41%, 31%였다.
어류 및 저서동물에 비해 부착돌말류의 평가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영양염류(질소, 인)가 하천에 유입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권역별로는 한강, 낙동강, 섬진강 권역이 수생생물 분야 항목에서 금강, 영산강 권역에 비해 좋음(B) 등급 이상 지점 비율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