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공원공단, 해빙기 맞아 탐방로 낙석 제거 - 전국 국립공원 낙석 위험지구 543곳 일제히 점검해 안전사고 예방 - 최근 5년간 해빙기(2월~4월)동안 23건의 낙석 사고 발생 김흥식 본부장=환경부
  • 기사등록 2020-03-16 10:47:05
기사수정


▲ 2020년 2월 치악산 낙석제거 작업 장면


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봄철 해빙기를 맞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3월 중순부터 전국 국립공원 낙석 위험지구 543곳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안전점검 대상은 지리산, 설악산 등 21개 국립공원의 탐방로 607개 구간(1,998km)에 위치한 급경사지 488곳과 험한 산봉우리(암장) 55곳이다.

 

특히 탐방로에 설치된 낙석 방지시설, 안전난간 등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물기가 얼고 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위의 균열, 뜬 돌 여부 등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국립공원공단안전점검 결과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소방서, 산악회 등과 바위를 인위적으로 제거하고, 필요한 경우 탐방로를 통제하거나 안전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해빙기 낙석은 주로 눈과 얼음이 녹거나 비가 내릴 때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인명피해, 시설물 붕괴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5년간(2015~2019) 봄철 해빙기(2~4) 동안 발생한 국립공원 낙석 사고는 23건이.

올해 2월에는 치악산 비로봉 하단에서 낙석이 발생하여 탐방로 시설물 일부가 파손됐다.

 

국립공원공단은 2013년부터 낙석사고 예방을 위해 국립공원 152곳에 자동으로 암반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낙석계측시스템 570대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있다.

 

2017년 설악산 천불동계곡 탐방로에서 낙석계측시스템의 암반변위가 관측(3mm)되어 임시 통제했고 통제기간 중 2톤 가량의 낙석이 발생했지만 인명피해는 없음


아울러, 낙석위험지구 외에도 탐방로, 대피소 등 공원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도 실시한다.


226일부터 한 달간 자체 합동 현장점검반을 편성하여 주요 국립공원 탐방로와 대피소를 점검하고 있으며, 보수보강이 시급한 곳은 예산 및 인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3개월 내에 조치한다.


이승찬 국립공원공단 재난안전처장은 해빙기 산행 시에는 항상 주변을 잘 살피고, 위험구간은 신속히 통과하는 등 스스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국립원을 탐방할 때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기반의 구조요청이 가능한 국립공원 산행정보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국립공원 산행정보앱 : 스마트폰 앱스토어(안드로이드, 애플)에서 국립공원 산행정보을 검색하여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음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1816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