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공원, 생태탐방원 등 다중이용시설 운영 재개 -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 및 실행방안’에 따라 -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7월 23일부터 개방, 대피소는 개방 제외 김흥식 본부장[환경부=세종]
  • 기사등록 2020-07-22 12:44:01
기사수정


▲ 환경부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생태탐방원, 체류형 숙박시설, 야영장(풀옵션 캠핑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의 운영을 723일부터 재개한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56일부터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당시 명칭 생활 속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국립공원 내 다중이용시설 중 실외에 있는 야영장을 50% 수준으로 우선 개방한 바 있다.

 

이번에 운영을 재개하는 시설은 생태탐방원(북한산, 설악산, 소백산, 한려해상, 가야산, 내장산 등 6) 체류형 숙박시설(태백산 민박촌, 덕유산 덕유대) 야영장(치악산, 월악산, 소백산 등 풀옵션 캠핑시설 및 카라반) 등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취사도구 등 대여물품 미제공, 객실 수용력의 50% 수준 유지, 12일 이상 예약 제한 등 각 시설의 방역 및 운영 여건을 감안하여 시설을 개방할 예정이다.

 

지자체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정에 의해 운영중단 중인 지리산생태탐방원(전남 구례 소재)과 무등산생태탐방원(광주광역시 소재)은 광주전남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하향될 경우(2단계1단계) 다른 지역의 생태탐방원 수준으로 운영이 재개될 예정이다.

 

다만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 등 전국 국립공원 14개 대피소는 탐방객의 안전, 방역 및 운영여건에 어려움이 예상되어 이번 개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코로나19 방역 및 관리 여건이 개선되면 대피소 운영 재개를 결정할 예정이다.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은 예약통합시스템(reservation.knps.or.kr)을 통해 사전예약 후 이용할 수 있다.

 

국립공원 시설을 이용하는 탐방객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표한 개인방역 5대 수칙 및 4대 보조수칙 등을 준수해야 하며, 시설별 이용자 위생수칙과 행동요령 등을 따라야 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3139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포토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