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은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이 불규칙한 자연재해와 신종 코로나 사태 등으로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산하 세계정보.조기경보국(GIEWS)은 올해 과도한 강우량 등 불규칙한 자연재해에 따른 식량 불안이 북한 내 많은 사람에게 만연해 있다고 밝혔다.
GIEWS는 26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올해 곡물 수확 시기에 불규칙한 강우량 등으로 인해 북한의 곡창지대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농작물이 성숙하는 시기인 8월부터 9월 초에는 장마와 홍수, 연속된 폭우와 태풍이 강타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수확을 한 달 정도 앞둔 지난 8월, 원격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황해남북도와 평안남북도의 지표면 토양습도가 지난 10년 새 최고치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정확한 곡물 피해를 측정할 수는 없지만 과도한 토지 습기는 수확을 앞둔 농작물 발육을 저해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서(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인명 피해와 가옥과 사회기반시설에 영향을 준 홍수, 태풍까지 맞물리면서 식량안보에 취약한 북한 인구가 더 늘었다고 밝혔다.
VOA에 따르면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전미북한위원회 대니엘 워츠 국장은 26일 올해뿐 아니라 내년에도 많은 북한 사람에게 식량안보는 분명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