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획기적 공동주택층간소음저감 특허품 휴보드
  • 배석문 기자
  • 등록 2021-07-18 18:59:49

기사수정
  • 공동주택 층간소음 획기적 해결선도
  • 에프지케이에서 15년이상 연구개발, 출시앞둔 “휴~보드”
  • - 중량충격음이 문제, 63Hz 충격음 저감이 중요 -



공동주택 층간소음 획기적 해결선도

에프지케이에서 15년이상 연구개발, 출시앞둔 ~보드

- 중량충격음이 문제, 63Hz 충격음 저감이 중요 -

(조선이공대학교 생명환경화공과 이광우 교수 개발)

 

층간소음기준 미달업체는 인센티브와 더불어 세대수제한 등 패널티규정 도입 필수

 

  우리나라의 층간소음 관련 법은 20030422일 입법 예고되어 1년 후부터 시행하고자 하였으나 제정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법적 최소기준인 경량충격음 58dB, 중량충격음 50dB 중 중량충격음 저감의 어려움으로 1년 유보되어 2005년 시행되면서 표준바닥구조(5)고시하였고 표준바닥구조로 시공시 건설업체는 중량충격음에 대해 면책이 되었다.

 

개인사생활중시 패턴과 집콕 등 코로나여파로 공동주택에서 민원 1순위인 층간소음으로 이웃간의 폭력, 살인, 분쟁, 소송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층간소음은 국가적, 사회적문제로 대두되어왔으며 2014년 표준바닥구조로 시공하더라도 중량충격음 최소기준을 만족시켜야하도록 개정하였으나 측정 방법 변경 등으로 시행이 유보되다 정부에서 2020년 사전인정제도를 없애고 사후확인제도를 도입 2022년 하반기부터 시행이 확정되었다.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은 중량충격음(아이가 뛰는 소리 등)을 줄여야 하는데 중량충격음은 63Hz 이하 저주파수대 소음(음압)을 줄이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현재의 평가방법은 중량충격음을 최대 8Hz까지 하향 보정할 수 있어 평가수치와 실제 입주자들이 듣는 층간소음과는 차이가 발생한다. 결국 층간소음에서 문제가 되는 중량충격음을 실질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63Hz 이하 저주파수대 충격음을 줄일 수 있는 제품(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층간소음 저감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조선이공대학교 생명환경 화공과 이광우교수는 공동주택 표준바닥구조에 그대로 적용하여 중량충격음 63Hz 주파수대의 충격음 수치를 저감할 수 있는 제품을 연구개발을 완료하였으며 층간소음연구개발업체인 에프지케이(FGK)를 창업, 양산체제를 갖추고 있다.

 

개발한 제품은 음교현상(Sound Bridge)을 역응용하여 저주파수대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보드로 표준바닥구조에 시공된 층간완충재 위에 부착한 후 바로 기포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여 시공 또한 용이하다.

 

성능시험은 A type(층간완충재+기포콘크리트), B type(층간완충재+개발제품+기포콘크리트)를 비교시험을 완료하였으며 중량충격음 63Hz대에서 A type보다 B type3.6dB 저감되는 결과를 입증하였다.

이는 180mm 슬라브두께에서 49dB을 나타내어 현재 기준인 210mm에서 시험할 경우 더 낮은 수치의 만족도로 나타날 것이다.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해결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고 관련 업계 및 연구원들은 말하고 층간소음 해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줄여야 할 63Hz 이하 저주파수대 소음(음압) 저감 또한 참으로 어렵다.

 

층간소음 관련 법 시행 후 적용된 저감기술이나 제품은 슬라브 두께 강화, 층간완충재 시공이 전부로 년간 30~40만세대 신축되는 공동주택의 슬라브 두께를 더 두껍게 한다면 늘어나는 모래나 자갈 등의 골재 확보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또한 현재 제도상 관련 업계의 층간소음 만족도 순위를 공표하는 등의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겠다고 하지만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층간소음기준 미달업체 등에 대해서는 시공가능(허가)세대수 제한 등 패널티부분이 반드시 도입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 견해이다.

 

이광우 교수는 슬라브 두께를 더 강화하지 않으면서도 중량충격음을 저감하여 건설업체의 어려움은 물론 층간소음 관련 입주자들간의 민원 적극감소로 행복한 주거문화창달과 국가, 사회적 문제해결에 적극 기여하길 희망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국내 시장점유율 50%를 목표로 매진하고 있다. 

* 문의 : 010.2467.0023(대표)/010.2497.3165(기획이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리얼시그널' 웹사이트...부동산, 예금, 주식, 가상자산 보유 현황 확인 (사진=네이버db)[뉴스21 통신=추현욱 ]고위 공직자들의 실제 부동산 보유 현황을 보여주는 웹사이트가 등장해 눈길을 끈다.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서비스 '리얼시그널'이 그것이다.리얼시그널에는 대통령, 국회의원, 장·차관, 고위 법관 및 검사, 군 장성 등 약 7000명의 자산 내역이 담겨 있..
  2. 의왕시 사근행궁, 의로운 왕의 도시가 잊지 말아야 할 자리 [뉴스21 통신=홍판곤 ]정조는 '의로운 왕(義王)'이었다. 그는 백성을 사랑했고, 아버지를 그리워했으며, 무너진 나라의 기강을 세우려 했다. 사근행궁에 들렀을 때마다 마음속에 품었던 건 단 하나였다."아버지를 배알하고, 백성을 돌보는 그 길이 곧 임금의 도리다."그 길 위에 오늘의 의왕(義王)이 있다. 그러나 지금, 그 이름의 ...
  3. 단양 강풍 속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 추락…탑승자 1명 중상 지난 22일 오후 3시 34분께 충북 단양군 단양읍 노동리 양방산 전망대 인근에서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이던 50대 남성 2명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단양소방서에 따르면, 사고 당시 조종사 A 씨와 동승 고객 B 씨는 이륙 직후 강풍에 중심을 잃고 인근 야산으로 추락했다. 현장에 있던 패러글라이딩 업체 직원이 즉시 119에 신고했으며, 소방..
  4. 제천시, 초고압 송전선로 ‘1년 전부터 인지’하고도 침묵… 충북 제천시가 초고압 송전선로(345kV 신 평창–신 원주) 건설사업이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을 지난해 11월부터 알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하지만 시는 이 사실을 시민에게 단 한 차례도 공식적으로 알리지 않아 ‘행정의 무책임’과 ‘정보 은폐’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한국전력공사는 지난해 11월 제천시를 포함한 해당 구...
  5. 매크로로 프로야구 티켓 10만장 싹쓸이한 40대 검거 프로야구 티켓을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10만 장 넘게 예매해 되팔아 거액의 수익을 챙긴 4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유포한 20대 2명도 함께 검거됐다.대전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암표 판매 혐의로 A씨(42)를, 매크로 프로그램을 제작해 유포한 20대 2명을 정보통신망법 및 국민체육진흥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했다...
  6. 태백 라마다 호텔 충격 증언 "1,910명 등기는 껍데기, '무제한 멤버십' 판매가 본질" 태백 라마다 호텔 사태가 1,910명의 '지분 쪼개기' 등기 분양 문제로 알려진 것과 달리, 실제로는 '무제한 멤버십 회원권' 판매를 통한 변칙적 수익 창출이 더 심각한 문제의 본질이라는 내부 관계자의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과거 태백 라마다 호텔의 내부 관계자 A씨는 "기사화된 1,910명의 등기 문제는 전체 사기 규모의 100분..
  7. 김꽃임 도의원 “제천은 전력 수혜지 아닌 희생양… 송전선로 노선 전면 재검토하라” 충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장 김꽃임 의원(제천1·국민의힘)이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345kV 신 평창~신 원주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제천 경유 노선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김 의원은 21일 열린 제429회 충북도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이번 사업은 강릉발전소 전력을 강원 영서와 용...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