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국경제 폭발적 성장, 다수 경제지표에서 한국 추월
  • 추현욱 사회2부 기자
  • 등록 2021-08-23 19:20:50

기사수정
  • ’21년 포춘 글로벌 500대 中(135개), 韓(15개) 추월, 수출1위품목 中 압도적
  • 중국의 1인당 GDP도 ’92년 한국의 5.2%에서 ’20년 33.3%로 크게 추격
  • 한중 간 명목 GDP는 ’92년 1.4배에서 ’20년 9.0배로 크게 격차




전경련은 한중 수교(’92.8.24) 29주년을 맞아 ’92년과 올해 사이 30년 동안 한중 간 경제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우선, 국내총생산(GDP)에서 중국은 한국을 크게 추월했다

명목 기준 한국의 GDP’923,560억 달러에서 ’2016,310억 달러로 약 4.6배 성장한 반면, 중국은 ’924,920억 달러에서 ’20147,230억 달러로 약 29.9배 폭발적 성장을 하였다. 이에 따라, 한중 간 명목 GDP 격차는 ’921.4배에서 ’209.0배로 크게 벌어졌다.


명목 1인당 GDP는 한국이 ’928,126달러에서 ’2031,497달러로 약 3.9배 증가한 반면 중국은 ’92420달러에서 ’2010,484달러로 약 25.0배 증가했다. ’92년에 중국의 명목 1인당 GDP는 한국의 5.2% 수준에 불과했으나 ’20년에는 33.3% 수준까지 크게 추격했다.


대외부문 지표에서 중국의 교역, 투자성장률은 한국을 크게 추월했다. 


우선 한국의 수출액은 ’92년 770억 달러에서 ’20년 5,130억 달러로 6.7배 성장한 반면, 중국은 ’92년 860억 달러에서 ’20년 5조 5,980억 달러로 65.1배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교역 면에서는 한국의 ’92년 교역액이 중국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20년에는 한국의 교역액이 9,810억 달러인 반면 중국은 7조 6,580억 달러로 한국의 약 7.8배 규모로 성장하였다.


한중 간 외국인직접투자(Inflow) 격차도 크게 벌어졌다.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는 ’92년 10억 200만 달러에서 ’20년 92억 2,400만 달러로 약 9.2배 증가한 반면 중국은 ’92년 110억 800만 달러에서 ’20년 1,493억 2,400만 달러로 약 13.6배 증가해 한국보다도 성장률이 크게 높았다. 해외직접투자(Outflow)도 한국은 같은 기간 23.6배 증가한 반면 중국은 33.2배 증가했다.


거시경제,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를 분석하여 국가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IMD 국가경쟁력 순위를 살펴보면 ’94년 한국은 32위, 중국은 34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21년에는 중국이 16위, 한국이 23위로 나타나 중국이 한국을 추월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제조업경쟁력을 살펴보면, 양국 모두 괄목할 만한 상승을 했으나 최근 들어 중국이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경쟁력을 분석해 국가마다 순위를 부여하는 UN산업개발기구(UNIDO)에 따르면 CIP 지수는 ’90년 한국과 중국이 각각 17위와 32위였으나 ’18년에는 중국 2, 한국 3위로 중국이 한국을 추월했다.

또한 S&P, Moody’s 등 국제신용평가기관은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92년과 달리 ’21년 현재 높게 평가하고 있다. S&P는 같은 기간 한국을 A+에서 AA2단계 올렸으나 중국은 BBB에서 A+4단계 올려 두 나라 간 차이는 4단계에서 2단계로 줄었다. Moody’s는 같은 기간 한국을 A1에서 Aa22단계 올렸으나 중국은 Baa1에서 A13단계 올려 두 나라 간 차이는 3단계에서 2단계로 줄었다.


한중 양국 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점유율 1위 품목 수 모두 중국이 한국을 추월했다.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는 ’95년 기준 한국이 8, 중국(홍콩 포함)3개로 한국이 많았으나 ’21년에는 한국이 15, 중국(홍콩 포함)135개로 중국이 크게 앞섰다.


또한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점유율 1위 품목 수는 한국이 ’93년 기준 96, 중국이 322개로 한국이 중국의 약 29.8% 수준이었으나 ’19년에는 한국이 69, 중국이 1,759개로 한국이 중국의 약 3.9%에 불과했다. 특히, 한국은 ’93년에 비해 ’19년에는 1위 품목수가 줄어든 반면 중국은 크게 늘어나 중국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R&D 1,000대 투자 기업 수에서도 한국이 ’0619개에서 ’1925개로 1.3배 증가한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4개에서 168개로 42.0배 폭증했다.


전경련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중국경제는 70년대말 대외개방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고 강조하며 특히 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중간 격차는 사라졌거나 대부분 분야에서 중국이 한국을 추월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중국의 급성장을 반면교사로 하여, 한국도 중국과의 경제교류 확대 및 동남아 등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성장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혁신산업을 가로막는 규제 개선, 노동시장 구조개혁, 4차 산업혁명 분야 적극 진출 등 정부와 기업이 함께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김문근 단양군수, SNS 밴드 홍보 활동 ‘선거법 위반’ 고발당해 충북 단양군의 김문근 군수가 지역 주민으로부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단양군선거관리위원회에 공식 고발됐다.  고발인 A 씨는 최근 단양군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고발장에서 “김 군수가 수천 명의 주민이 가입한 SNS 밴드 ‘단양의힘 김문근’에서 자신의 실적과 업적을 반복적으로 홍보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2. “추석 인사인가, 선거운동인가”…제천·단양 자치단체장 현수막 도 넘었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충북 제천시와 단양군이 곳곳에 내건 현수막이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명절 인사라는 이름을 달았지만, 실제로는 시장과 군수 개인의 이름을 알리기 위한 사전 선거운동용 홍보물이라는 비판이 거세다.제천시청 앞과 각 동 행정복지센터 게시대에는 김창규 제천시장의 이름이 크게 박힌 현수막이 걸렸다....
  3. 김영환 충북지사, 제천 한방엑스포 방문… “도민과 함께하는 행보”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추석 연휴를 맞아 제천에서 열리고 있는 2025 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현장을 찾았다.행사 측은 김 지사를 위해 VIP 전용 주차장을 마련했지만, 그는 이를 이용하지 않고 부인과 함께 일반 관람객 주차장을 선택했다. 이후 행사장까지 도보로 이동하며 시민들과 같은 동선을 공유했다.김 지사의 이번 행보는 ‘...
  4. 공포정치의 서막,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는가 【정치=뉴스21통신】 홍판곤기자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구속됐다. 법원은 영장을 발부했고, 검찰은 수사를 진행했으며, 절차는 적법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국민이 목격한 것은 법의 공정한 집행이 아니라 권력의 속도전이었다. 여당은 압도적 의석수로 정부조직법을 단독 처리했고, 야당은 항의 속에 전원 퇴장했다. 이튿날 국무회의.
  5. 75세 ‘가왕’ 조용필, 광복 80주년 기념 무대… “이 순간을 영원히” ‘가왕’ 조용필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시 무대의 중심에 섰다.6일 방송된 KBS 광복 80주년 대기획 ‘조용필, 이 순간을 영원히’는 대한민국 음악사의 한 획을 그은 조용필의 57년 음악 여정을 담아내며 전 세대 시청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했다.이번 공연은 조용필이 KBS 무대에 선 것이 지난 1997년 ‘빅쇼’ 이후 28년 만...
  6. 이재명 대통령 부부 ‘냉장고를 부탁해’ 출연… 여야, “정치 홍보냐” vs “정쟁 자제하라” 공방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JTBC 예능 프로그램 ‘냉장고를 부탁해’에 출연하면서 정치권이 다시 격렬한 공방에 휩싸였다.JTBC는 6일 오전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냉장고를 부탁해’ 42회 예고편을 공개했다. 예고편에서 MC 김성주는 “오늘의 특급 게스트는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라고 소개했고, 이 대통령...
  7. 포항시, 오픈AI·NeoAI Cloud 글로벌 데이터센터 유치 확정 [뉴스21통신=추현욱] 경북 포항시가 오픈AI와 NeoAI Cloud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글로벌 데이터센터 건립지로 최종 확정됐다.이번 유치는 포항시가 지난 반세기 철강산업을 넘어 대한민국 AI 산업 전환을 선도하는 핵심 전략 거점으로 발돋움하는 역사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수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와 함께 지역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이 .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