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5년간 금융 공공기관에 대한 친정부·친여당 성향의 '낙하산' 인사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따르면 8개 금융 공공기관으로부터 받은 '임원 및 이사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올해 1월 말까지 약 5년간 임명된 친정부·친여당 성향의 임원·이사는 총 6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대선 캠프 출신 ▶청와대 고위직 등 코드 인사 ▶더불어민주당 출신 등 속칭 ‘캠코더’ 인사를 낙하산 인사로 분류했다. 분석 대상 기관은 예금보험공사·신용보증기금·산업은행·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한국주택금융공사·서민금융진흥원·중소기업은행·한국예탁결제원 등이다.
기관별로는 예보가 16명으로 가장 많고 캠코·신용보증기금·산업은행이 각 9명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서민금융진흥원은 각각 8명과 6명, 중소기업은행과 예탁결제원은 각각 4명과 2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63명이 맡은 직위는 각 금융기관의 기관장, 감사, 상임이사, 비상임이사 등이며 이들 중 34명은 현직이다.
분석 대상 금융 공공기관 중 예보·캠코·신보·주금공·서금원은 준정부기관이고 산은·중소기업은행·예탁결제원은 기타 공공기관에 해당한다.
강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지난 5년간 대선 캠프 출신, 코드가 맞는 사람, 더불어민주당 인사를 공공기관에 골고루 내려주는 논공행상 잔치판을 벌였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