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수원, 월성 1호기 조기 폐쇄로 1조5000억 손실
  • 임정훈 기자
  • 등록 2023-10-19 18:10:28

기사수정
  • 비싼 LNG로 대체할 경우 한전 전력구입비 2조 5천억원 추가 발생



(뉴스21통신/임정훈기자) = 문재인 정부 시절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조기 폐쇄됨에 따라 이 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약 15천억원 규모의 전기 판매 수익을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국민의힘 권명호 의원(울산 동구)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월성 1호기가 조기 폐쇄 이후인 20187월부터 설계수명 종료일인 작년 1120일까지 실제로 계속 가동됐다고 가정할 경우 한수원이 한국전력에 전기를 팔아 번 돈은 14906억원에 달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 2020년 감사원이 발표한 월성 1호기 조기폐쇄 결정의 타당성 점검감사결과에서 A회계법인이 한수원에 제출한 경제성평가의 전기판매수익 추정 최종안에서 제시한 매출액 7,511억원보다 7,395억원의 매출액이 더 발생한 것이다.

 

문제는 월성1호기가 조기폐쇄되면서 원전보다 2배 이상 비싼 LNG 발전으로 대체됐다고 가정할 경우 36,350억원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는 원전을 운영했을 때보다 한전이 21,444억원의 전력구매비용이 더 들었고, LNG발전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 구매비용 3,625억원까지 더하면 총 25,069억원의 구매비용이 추가로 발생한 셈이다.

 

권명호 의원은 "전 정권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월성 1호기를 조기 폐쇄하면서 한수원과 한전에 피해를 줘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증가했고, 결국 국민 전기요금 부담도 늘어났다 "고 말했다.

 

지난 1983년 상업 운전을 시작한 월성 1호기는 고리 1호기에 이은 국내 두 번째 원전으로, 2012년 설계수명(30)이 만료돼 가동이 중단됐다가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201510년 연장운전 계속운전 허가를 받고 발전을 재개했다.

 

그러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20186월 한수원 이사회에서 조기 폐쇄가 결정됐고, 201912월 원안위에서 영구정지가 확정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김문근 단양군수, SNS 밴드 홍보 활동 ‘선거법 위반’ 고발당해 충북 단양군의 김문근 군수가 지역 주민으로부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단양군선거관리위원회에 공식 고발됐다.  고발인 A 씨는 최근 단양군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고발장에서 “김 군수가 수천 명의 주민이 가입한 SNS 밴드 ‘단양의힘 김문근’에서 자신의 실적과 업적을 반복적으로 홍보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2. “추석 인사인가, 선거운동인가”…제천·단양 자치단체장 현수막 도 넘었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충북 제천시와 단양군이 곳곳에 내건 현수막이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명절 인사라는 이름을 달았지만, 실제로는 시장과 군수 개인의 이름을 알리기 위한 사전 선거운동용 홍보물이라는 비판이 거세다.제천시청 앞과 각 동 행정복지센터 게시대에는 김창규 제천시장의 이름이 크게 박힌 현수막이 걸렸다....
  3. 안보 대재앙…野 "국민 59%가 등 돌린 방첩사 해체, 누구를 위한 국가 자해인가“ [국회=서민철 기자] 이재명 정부가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를 사실상 공중 분해하는 초유의 조치에 돌입하자, 대한민국 안보의 최전선을 지켜온 예비역들과 정치권의 분노가 임계점을 넘어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30일 국회에서 '방첩사 해체, 간첩은 누가 잡나?'를 주제로 긴급 정책 토론회를 열고, 이번 조치가 국민 여론과 안보 ...
  4. 10월1일, 경기버스 파업시 파주시 비상 수송 대책안(파주시 홈페이지) [뉴스21 통신=추현욱 ]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는 임금인상 등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노사 간 협상을 진행 중이며, 30일 조정회의에서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내달 1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한편 파주시는 다음 달 25일 첫차부터 마을버스 요금을 200원 인상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요금 인상은 지난 2019년 요금 인상 이후 6년 만에 시...
  5. 공포정치의 서막,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는가 【정치=뉴스21통신】 홍판곤기자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구속됐다. 법원은 영장을 발부했고, 검찰은 수사를 진행했으며, 절차는 적법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국민이 목격한 것은 법의 공정한 집행이 아니라 권력의 속도전이었다. 여당은 압도적 의석수로 정부조직법을 단독 처리했고, 야당은 항의 속에 전원 퇴장했다. 이튿날 국무회의.
  6. 김영환 충북지사, 제천 한방엑스포 방문… “도민과 함께하는 행보”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추석 연휴를 맞아 제천에서 열리고 있는 2025 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현장을 찾았다.행사 측은 김 지사를 위해 VIP 전용 주차장을 마련했지만, 그는 이를 이용하지 않고 부인과 함께 일반 관람객 주차장을 선택했다. 이후 행사장까지 도보로 이동하며 시민들과 같은 동선을 공유했다.김 지사의 이번 행보는 ‘...
  7. 엄태영 의원 “문신사법 통과… K-타투 산업으로 성장 기대” 지난주 국회를 통과한 이른바 ‘문신사법’과 관련해 제천·단양 지역구의 엄태영 국회의원이 “늦었지만, 역사적인 변화”라며 환영 견해를 밝혔다.문신사법은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는 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대법원이 ‘의료법 위반’ 판결을 내린 이후 33년간 불법으로 묶여 있었다. 이번 법안 .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