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시각 5일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의 기본 관세가 부과됐다.
오는 9일부터는 국가별로 다른 개별 관세를 추가한 상호 관세가 부과된다.
이를 앞두고 50개 이상의 국가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을 요청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하지만 협상은 하되 연기나 유예는 없다는 게 미국 정부 방침이다.
러트닉 상무장관은 예정대로 시행된 상호 관세가 한동안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과 거래가 전혀 없는 남극 근처 이른바 펭귄 섬까지 관세 대상으로 삼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우회 수출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미국 재무장관은 상호 관세에 따른 경기 침체를 고려해야 한다는 금융권의 지적을 반박했다.
고용 지표가 증가세를 보인다면서 미국은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지금의 주식 시장은 단기적 반응일 뿐이라고도 했다.
이처럼 트럼프 행정부 전체가 나서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는 모습이지만 물가 상승 우려 속에 내년 가을 중간 선거에서 패배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여당인 공화당 내에서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