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국제 금값이 온스당 3,6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연말 4천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단기적 금리 인하 기대와 달러 약세를 넘어, 구조적인 요인이 금값 강세를 뒷받침한다는 분석이다.
신한투자증권 하건형 연구원은 9일 보고서에서 “세계 분절화 심화로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가 확대됐고, 최근에는 상장지수펀드(ETF)까지 신규 매수 주체로 등장했다”며 “재정건전성 우려와 금융억압 정책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금값은 여전히 10% 이상 상승 여력이 있으며, 올해 말 모형가격은 온스당 4천달러에 육박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 5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만기 금 선물은 온스당 3,653.3달러로 거래를 마쳤고, 현물 금도 3,596.6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는 올해 들어 37% 이상 오른 수치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유사한 전망을 내놨다. 보고서에서 골드만삭스는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돼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 비중을 줄이고 금으로 대체한다면 금값은 온스당 5천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금 가격의 급등이 단순히 경기 사이클에 따른 현상이 아니라, 지정학적 긴장, 중앙은행의 매수, 금융 체제 불안 등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한다. 이에 따라 금값이 연말까지 추가 상승세를 이어가며 새로운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