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송파구
서울 송파구(구청장 서강석)는 지난 5개월간 추진한 부동산거래 질서 확립을 위한 행정지도 결과, 관내 허위·과장 매물 건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지난 3월 잠실동 일부에 국한되었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송파구 전역 아파트로 확대 지정되자, 가격 상승 기대 심리가 확산되며 일부 중개사무소가 허위 매물을 게시하거나 시세를 부풀려 혼란을 초래했다. 이에 따라 구청은 민원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적극적인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구는 ‘규제행정이 아닌 지원행정’을 기조로, 개업공인중개사에 대한 온라인 모니터링과 현장점검을 병행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측에 시정을 요구하여 중개사무소 스스로 매물을 바로잡도록 유도했고, 필요 시 「공인중개사법」 위반에 대한 과태료도 부과했다.
특히 대단지 아파트 매물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3월 헬리오시티를 시작으로 4월 잠실동 주요 단지(엘스·리센츠·트리지움·잠실5단지 등), 7월 다시 헬리오시티에 대한 단속을 진행했다.
그 결과 구가 실시간 모니터링한 매물 건수는 3월 1,817건에서 8월 688건으로 62% 이상 급감했다. 구 관계자는 “허위 매물 건수가 실질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피해와 혼란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강석 송파구청장은 “허위 매물은 건전한 거래 질서를 해치고 정당한 소비자에게 손해를 입히는 위법 행위”라며, “앞으로도 누구나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투명하고 안정적인 부동산 시장 조성을 위해 다각적인 지원을 펼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