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사진=MBC뉴스영상캡쳐]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의 파장이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가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전 금융권 차원의 보안 강화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8일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관계기관·전문가·롯데카드 경영진이 참석한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는 ▲롯데카드가 피해 규모와 사실을 신속히 알리고, ▲피해 발생 시 전액 보상 등 실효성 있는 소비자 보호를 즉각 시행하며, ▲정보보호 위규사항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일벌백계 원칙의 엄정 제재, ▲전 금융권 보안 관리체계 점검 및 근본적 제도개선 추진 등이 논의됐다.
[사진=MBC뉴스영상캡쳐]
당국 조사에 따르면 이번 해킹으로 약 200GB의 정보가 유출됐고, 총 296만9천 명의 개인신용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약 28만3천 명(9.5%)은 카드 비밀번호와 CVC까지 유출됐다. 다만 롯데카드가 사고 직후 추가 본인인증과 FDS(이상거래탐지시스템) 강화를 시행해 현재까지 부정 사용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유출 고객 중 66%가 카드 재발급이나 비밀번호 변경을 완료해 리스크가 차단됐다”며 “해외 키인결제를 통한 부정거래 가능성은 있으나 전액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불편이 계속된다. 앱에서 해지 버튼을 찾기 어렵고, 상담 연결이 지연되면서 특히 고령층의 불만이 크다. 피해자 집단소송 참여자는 4천 명을 넘었다.
국회도 MBK파트너스의 관리 소홀 의혹을 지적하며 국정감사 증인 채택을 예고했다. 금융보안원 역시 최고 등급 인증 직후 사고가 발생한 점에서 책임론이 제기된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보안을 비용이 아닌 금융사의 핵심 책무로 인식해야 한다”며 “징벌적 과징금 도입 등 제도 개선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피해 고객은 롯데카드 앱·홈페이지·고객센터(1588-8100)에서 유출 여부를 확인하고 재발급·해지 신청을 할 수 있으며, 부정 사용 시 전액 보상이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