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신건강 진료 5년 새 2.7배… 약제비 2.3배 폭증
  • 장은숙
  • 등록 2025-10-15 11:47:11

기사수정
  • ADHD 치료제 처방 3.5배 증가, 초등생 사용이 절반 넘어
  • “약물 중심 진료에서 회복 중심으로 전환해야… 공공 정신건강 인프라 시급”

사진=픽사베이

최근 5년 사이 ADHD와 우울증 등 정신건강 질환 진료가 2.7배 늘고, 약제비 총액도 2.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DHD 치료제 사용량이 급증하며, 정신건강 관리가 상담보다 약물 중심으로 기울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부천시갑)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정신건강 관련 약제비 및 성분별 처방 현황’에 따르면, ADHD 치료제 사용량은 2020년 2046만 건에서 2024년 5617만 건으로 2.7배 늘었다. 같은 기간 약제비 총액은 198억 원에서 466억 원으로 2.3배 증가했다.


성분별로는 ADHD 치료제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대표 약물인 메틸페니데이트는 2020년 1581만 개에서 2024년 4164만 개로 3.5배 늘었고, 아토목세틴은 3926만 개에서 1억 2223만 개로 3.1배, 클로니딘은 719만 개에서 2302만 개로 3.2배 증가했다. 서 의원은 “아동·청소년뿐 아니라 성인 ADHD 진단이 급격히 늘고, 우울·불면 등 복합 증상을 동반한 환자 처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자료제공:서영석 의원실


연도별로는 2022년에서 2023년 사이에 ADHD 진료 증가폭이 가장 컸다. 성인(19세 이상)은 2021년 대비 2022년에 61.5% 급증했고, 고등학생(16~18세)은 40.2%, 초등학생(7~12세)과 중학생(13~15세)도 각각 32.5%, 31.5% 증가했다. 2022~2023년은 전 세대에서 ADHD 진료가 동반 급증한 시기로 나타났다.


우울증 진료는 2021년에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0~6세(48.9%)와 7~12세(46.4%) 등 어린 연령층의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이후에도 청소년과 성인 모두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ADHD 관련 약제 5617만 개 중 의원급 의료기관이 1876만 개(33.4%), 약국이 3237만 개(57.6%)로 전체의 91%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초등학생(7~12세)이 3173만 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중·고등학생(13~18세)이 2175만 개, 성인(19세 이상)은 204만 개였다.

서영석 의원은 “정신건강 문제를 단순 약물 복용으로 관리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상담·회복·생활지원이 통합된 공공 정신건강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특히 청소년과 성인기 환자 관리의 공백을 메우고 지역사회 중심의 정신건강 의료 전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료제공:서영석 의원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의왕시 사근행궁, 의로운 왕의 도시가 잊지 말아야 할 자리 [뉴스21 통신=홍판곤 ]정조는 '의로운 왕(義王)'이었다. 그는 백성을 사랑했고, 아버지를 그리워했으며, 무너진 나라의 기강을 세우려 했다. 사근행궁에 들렀을 때마다 마음속에 품었던 건 단 하나였다."아버지를 배알하고, 백성을 돌보는 그 길이 곧 임금의 도리다."그 길 위에 오늘의 의왕(義王)이 있다. 그러나 지금, 그 이름의 ...
  2. 단양 강풍 속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 추락…탑승자 1명 중상 지난 22일 오후 3시 34분께 충북 단양군 단양읍 노동리 양방산 전망대 인근에서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이던 50대 남성 2명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단양소방서에 따르면, 사고 당시 조종사 A 씨와 동승 고객 B 씨는 이륙 직후 강풍에 중심을 잃고 인근 야산으로 추락했다. 현장에 있던 패러글라이딩 업체 직원이 즉시 119에 신고했으며, 소방..
  3. 제천시, 초고압 송전선로 ‘1년 전부터 인지’하고도 침묵… 충북 제천시가 초고압 송전선로(345kV 신 평창–신 원주) 건설사업이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을 지난해 11월부터 알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하지만 시는 이 사실을 시민에게 단 한 차례도 공식적으로 알리지 않아 ‘행정의 무책임’과 ‘정보 은폐’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한국전력공사는 지난해 11월 제천시를 포함한 해당 구...
  4. 김꽃임 도의원 “제천은 전력 수혜지 아닌 희생양… 송전선로 노선 전면 재검토하라” 충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장 김꽃임 의원(제천1·국민의힘)이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345kV 신 평창~신 원주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제천 경유 노선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김 의원은 21일 열린 제429회 충북도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이번 사업은 강릉발전소 전력을 강원 영서와 용...
  5. 매크로로 프로야구 티켓 10만장 싹쓸이한 40대 검거 프로야구 티켓을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10만 장 넘게 예매해 되팔아 거액의 수익을 챙긴 4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유포한 20대 2명도 함께 검거됐다.대전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암표 판매 혐의로 A씨(42)를, 매크로 프로그램을 제작해 유포한 20대 2명을 정보통신망법 및 국민체육진흥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했다...
  6. 태백 라마다 호텔 충격 증언 "1,910명 등기는 껍데기, '무제한 멤버십' 판매가 본질" 태백 라마다 호텔 사태가 1,910명의 '지분 쪼개기' 등기 분양 문제로 알려진 것과 달리, 실제로는 '무제한 멤버십 회원권' 판매를 통한 변칙적 수익 창출이 더 심각한 문제의 본질이라는 내부 관계자의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과거 태백 라마다 호텔의 내부 관계자 A씨는 "기사화된 1,910명의 등기 문제는 전체 사기 규모의 100분..
  7. 안전모니터 봉사단 울산시연합회 역량강화 및 안전교육 [뉴스21 통신=최병호 ]안전모니터 봉사단 울산시연합회(회장 최병호)는 10월 19일(토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안전모니터 봉사단 사무실에서 「안전신문고 역량강화교육 및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번 교육은 일상 속 안전의식을 제고하고, 안전신고 및 예방활동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으며, 울...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