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호권 영등포구청장
영등포구(구청장 최호권)는 오랜 기간 신분 없이 지내던 한 행려환자가 구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65세의 나이에 처음으로 주민등록을 마치고,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았다고 27일 밝혔다.
‘행려환자’는 거소가 일정하지 않고, 보호자나 가족이 없어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응급환자로, 경찰서나 소방서 등 행정기관을 통해 병원으로 이송된 사람을 뜻한다.
A씨(65)는 2020년 영등포구 거리에서 쓰러진 채 발견돼 응급치료를 받은 뒤 인천 남동구의 한 요양병원으로 이송됐다. 주민등록이 없어 통장 개설, 병원 진료, 투표, 취업 등 기본적인 사회활동이 불가능했던 그는 오랜 시간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사람’으로 살아왔다.
이에 영등포구청 생활보장과는 병원을 수차례 방문해 지문채취와 신원조회 등 사실조사를 진행하며 꾸준히 상담을 이어갔다. 이후 인천 남동구 주민센터와 협력해 주민등록 절차를 추진하고,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등 실질적인 복지 지원을 병행하며 사회 복귀를 지원했다.
그 결과 지난 8월, A씨는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 주민등록을 완료했고, 생애 첫 주민등록증을 손에 쥐었다.
A씨는 “건강이 회복되면 사회에 나가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싶다”며 “내 이름으로 된 통장을 가지게 될 줄 몰랐는데 정말 감사하다”고 전했다.
영등포구는 올해 A씨를 포함해 총 4명의 행려환자를 대상으로 주민등록 재등록, 기초생활수급 및 의료급여 신청 등 맞춤형 행정지원을 진행하며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힘쓰고 있다.
최호권 영등포구청장은 “주민등록은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본적 권리를 보장받는 첫걸음”이라며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세심히 살피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따뜻한 행정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