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역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 <거짓말> 이회두 본부장
  • 기사등록 2017-05-02 17:37:10
  • 수정 2017-05-03 13:14:17
기사수정



19871216일 대통령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 노태우(盧泰愚)가 당선되었고, 이어 1988426일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여당 125, 야당 174석으로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전체 의석의 42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한국 헌정 사상 처음으로 여소야대 국회가 등장하였다.


이후 민정당은 정기승 대법원장 임명안 부결, 국정감사 부활 등 정국주도권을 야당에게 내어주고 고전하게 된다.


투표율과 함께 의석수를 살펴보면,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125(지역구 87, 전국구 38), 평화민주당이 70(지역구 54, 전국구 16), 통일민주당이 59(지역구 46, 전국구 13), 신민주공화당이 35(지역구 27, 전국구 8), 한겨레민주당이 1, 무소속이 9석을 차지하였다.



통일 민주당은 김영삼이 부산서구에서 당선되어 헌정 초유의 무려 9선 의원이 되고, 득표율에서도 2위를 기록했으나 실제 의석수는 59석에 그쳐 평민당(70)에 밀려 원내 3당으로 밀려난다.


공화당은 35석을 얻으면서 교섭단체는 만들 수 있게 되었으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충청도 지역에서 27석 중 15석을 획득하는 데 그치는 등 부진한 결과이다.


19.3%의 득표율에 그쳤지만 원내 제 2당이 되었고, 호남이라는 확고부동한 터전을 갖추게 된 김대중 평민당 총재는 그 위상이 상당히 올라간 상태가 되었다.


여소야대 정국은 국회의 역할을 높이게 되어 오히려 민주정치 본연의 모습이 살아난 면이 있다.


국회 청문회가 TV로 생중계 되는 가운데 청문회 스타의원도 탄생하고, 성금을 모아 한겨레신문이 창간되기도 하며, 5공 군사정권과 측근들의 비리에 대한 검찰수사가 진행 되었다.


19881123일 전두환 전() 대통령이 연희동 자택에서 TV로 전국에 생중계되는 가운데 대국민 사과문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한다.


그는 자신의 재임기간 중 일어났던 모든 과오와 비리를 시인, 사과하고 어떠한 비난과 추궁도 각오한다는 내용의 사과문 발표와 함께 개인재산과 정치자금 139억 원을 국가에 헌납한다는 발언을 한다.

발언을 마친 전두환씨는 이날 오후 320분쯤 부인 이순자 여사와 함께 집을 나와 설악산 백담사로 들어가 19901230일까지 은둔생활을 이어갔다.



어떤 면에서는 6.29선언과 여소야대 4당 체제는 사회의 다양한 욕구가 터져 나오는 계기가 되었는데, 전교조의 탄생, 프로야구 선수협회 시도, 경실련의 등장, 무단방북(문익환 목사, 임수경 학생, 문규현 신부 등) 등이 모두 이 시기에 일어난 일들이다.


이러한 상황을 민주화의 성숙과정으로 보는 면이 있는 반면 민정당을 비롯한 주류 기득권 세력은 공권력의 실추라든가, 정부가 불만세력에 휩쓸린다는 식으로 불편해 하는 면이 강했다.


3당합당 혹은 3당야합


급기야 물태우 당라는 조롱을 받던 민정당은 국회를 장악하기 위해 원내 제 2당인 평민당과의 합당을 추진했으나 김대중 총재에게 거절당하자, 1990122, 2야당 통일민주당(약칭 민주당), 3야당 신민주공화당(약칭 공화당)과 합당해 민주자유당을 출범시키는 사건이 일어난다.


인터넷에서 3당 합당 이미지를 검색해보면,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외에 노무현, 김상현의 모습이 함께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당 합당은 무슨 정치적 신념의 공유 등이 아니라, 13대 국회의 세력구조로는 집권이 어렵다고 판단한 김영삼 총재와, 내각제 개헌을 목표로 차기집권을 꿈꾸던 김종필 총재가, 노태우가 내미는 정권잡기를 위해 손을 잡기로 한, 그냥 3당 야합이라 불러도 될 일이다.


3당 야합의 결과 호남과 비호남의 지역대결 구도는 더욱 심화 되었고, 민자당은 대구와 경상북도, 부산과 경상남도, 충청도 등으로 지지 기반을 넓히며 선거 압승을 장담하고 있었다.


정주영과 통일국민당의 등장


1992324일 민주정의당이 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과 통합해 창당한 민주자유당, 평화민주당과 신민주연합당의 통합으로 탄생한 민주당, 현대그룹의 정주영(鄭周永)을 중심으로 탄생한 통일국민당의 3파전 양상으로 대한민국 제 14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선거 전 194석을 차지하고 있었던 민자당은 45석을 잃은 149, 평민당을 신민주연합당으로 개편하고 꼬마민주당과 기존의 운동권 세력들도 끌어들이는 등 화합을 시도한 민주당은 97석을 차지했다.


주목할 것은 현대그룹의 회장이었던 정주영이 창당한 통일 국민당의 성과이다.


정주영은 청문회에서 정부에 직접 로비를 했느냐는 노무현 의원의 질문에 지금까지 국회가 제 역할을 못하기에 그러했다.”고 응수하여 노무현으로부터 국회가 바지 저고리였던 거죠.” 라는 자조 섞인 독백을 하게 만들기도 한, 우리나라 역사에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인물

 

정주영이 여야의 낙천자들을 대상으로 영입해 창당한 통일국민당이 바람을 일으키면서 일부 보수층들이 민자당 대신 국민당을 지지하는 결과를 가져오면서 31석을 획득하여 원내교섭단체를 확보하면서 제3당으로 부상했다.



국민당의 바람은 민자당의 돌풍을 차단할 수 있었고 정주영은 대통령에 출마하여 비슷한 결과를 이끌어 내기도 하지만, 두고두고 민자당으로부터 미움을 사게 된다.


14대 대통령 선거 결과


19921218, 민자당 김영삼 후보, 민주당 김대중 후보, 국민당 정주영 후보의 3파전 양상에서, 김영삼 후보가 997만표(유효투표의 41%)를 획득, 804만표(33%)388만표(16%)를 획득한 김대중 후보와 정주영 후보를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된다.


김영삼 후보는 거대 합당 정당의 후보인 기득권을 십분 발휘하여, 부산기관장대책회의 파문, TV토론 회피 등 선거운동과정의 열세를 만회하고 승리한 반면, 김대중 후보는 유세과정의 분투에도 불구하고 호남지역 확정이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패배하면서 정계 은퇴선언을 한다.


거대한 조직과 자금력을 바탕으로 초반에 바람을 일으켰던 정주영 후보는 금권선거 시비로 역풍을 맞았으며 특히, 당선자에만 촉각을 기울이는 여론들의 집중포화를 받으며 사실상 좌초했다.



14대 대통령 선거의 특징은 국민들이 정책대결의 맛을 본 것이다.


14대 대선의 색다른 특징은 정주영 후보가 등장하여 흑색선전과 지역감정의 악용이 판을 치는 패거리 정치판에 정책 대결을 벌인 점이다

 

그 시절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지금도 정주영 후보의 반 값 아파트경부고속도로 2층화공약을 얘기하곤 한다.


13대 대선에서 신문 광고가 눈길을 끌었던 것처럼, 선거일 일주일 전까지의 신문 광고 등을 통해 세 후보와 정당의 성향을 알아본다.




이때까지는 일종의 슬로건과 이미지 광고가 중심이라고 볼 수 있다.


김영삼은 신한국을 창조하기 위해 개혁을 할 것이고, 경제부터 할 것인데 약속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은 김영삼뿐이다.’는 논조이다.

김대중은 이번에는 진정한 경제 대통령으로 바꾸자는 호소를 한다.

정주영은 흙수저로 태어나 삶의 현장에서 역경을 헤치고 세계로 나아가자는 선언이다.

 

이렇게 선량한(?) 광고들은 대선으 일주일 가량 앞두고 변화하기 시작한다. 특히 김영삼 후보 측에서는 도저히 허물 수 없는 기반을 지닌 김대중 후보쪽보다, 보수의 표밭을 흔들고 있는 정주영을 타겟으로는 쥐어패기식의 광고를 내보낸다.




선거가 끝나고 정계은퇴선언을 한 김대중 후보, 대통령이 되자마자 IMF사태를 막지 못한 김영삼 후보, 정권욕이 정치가를 거짓말쟁이로 만드는 것인지, 거짓말은 정치가의 역량인지 모를 노릇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422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러시아 공격으로 하르키우에서 10명부상,우크라이나 전쟁은 오랫동안 계속 될 것...
  •  기사 이미지 군산시 경암동 전동킥보드 가게 화재 발생, 인근 대피 소동
  •  기사 이미지 네타냐후-하마스 체포영장.. 양쪽 모두 "내가 피해자.." 반발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