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미세먼지 연구개발(이하 R&D) 협의체*(이하 범부처 협의체)는 10월 10일(수)∼11일(목) 2일 간 서울 중구 LW 컨벤션센터에서 ‘대한민국 미세먼지 R&D 전문가 대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과학기술 기반의 근본적인 미세먼지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세먼지 R&D 관련 11개 기관 중심으로 구성(‘18.5)
이번 토론회는 대한민국 미세먼지 분야 과학자들이 모여 미세먼지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도전적이고 다양한 과학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지난 9월 3일부터 약 한 달간 미세먼지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전 제출받은 수요 조사서 90여 건과 권역별 간담회*를 토대로
* 4대 권역별(강원, 충청, 호남, 영남) 사전 전문가 간담회 개최(9.13.∼20.)
2일 간 미세먼지 전문가가 모여 ①미세먼지 국가 R&D 주요 추진 현황, ②현상 규명 및 예측, ③집진 저감 기술, ④생활환경 보호기술, ⑤건강영향 평가 등 5개의 세션별로 열띤 토론이 진행 되었다.
10월 10일 1일차는 [세션1] 미세먼지 국가 R&D 주요 추진 현황, [세션2] 미세먼지 현상 규명 및 예측분야에 대한 전문가들의 주요 과학적 대안들을 논의하였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미세먼지 국가 R&D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주요 미세먼지 연구 개발 현황을 공유하였다.
우선, 대표적인 미세먼지 범부처 사업인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의 주요 연구 내용을 미세먼지 사업단장이 발표하였다.
| |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주요 내용 | | |
| | | | |
ㅇ 사업개요 : ①미세먼지 발생ㆍ유입, ②집진ㆍ저감, ③측정ㆍ예보, ④국민생활 보호ㆍ대응 등 4대 부문에 과학기술 기반의 솔루션 마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환경부‧복지부 협조(‘17.8~’20.5/ 총 493억원) ① (발생ㆍ유입) 미세먼지 생성기작 규명, 발생원인 및 기여도 추정 ② (집진ㆍ저감) 사업장 미세먼지 원인 물질(SOx, NOx, VOCs) 저감 기술 개발 ③ (측정ㆍ예보) 실시간 입체감시 시스템 구축, 한국형 예보모델 개발 ④ (보호ㆍ대응) 미세먼지 건강영향 평가, 생활환경 미세먼지 노출저감 기술 개발 |
또한 정부 전체의 미세먼지 연구 활동 정보를 집대성한「미세먼지 기술개발 로드맵」을 통해 부처별 미세먼지 연구 현황과 향후 연구개발 추진 방향을 공유하였다.
| | 미세먼지 기술개발 로드맵 개요 | | |
| | | | |
◇ 로드맵 개념 : 정부 전체의 ‘미세먼지 대응 기술’ 연구활동 경과, 성과 및 추진계획에 대한 정보(Information)의 총합 ◇ 작성 대상 : ‘미세먼지 대응 기술’ 전체를 대상으로 하되, 전략적 관리가 어려운 상향식(bottom-up) 과제(기초연구, 출연(연) 자체사업 등)는 제외 ◇ 작성 내용 : 기술분류체계 상 10대 중분류별로 연구 현황ㆍ성과ㆍ계획(목표, 투자규모, 예상 일정, 성과활용 등)을 ‘과제 레벨’까지 제시 |
두 번째 세션은 ‘미세먼지 현상 규명 및 예측’ 분야에 대한 주제 발표 및 17건의 연구 주제를 공유와 패널 토론 등이 이어졌다.
우선, 한국외국어대학교 김영성 교수 및 광주과기원 송철한 교수의 미세먼지 발생 유입 및 한국형 대기질 예보모델 시스템 개발 관련 주요 연구 현황을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