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산차와 수입차의 성능·가격이 같을 경우 국산차를 사겠다는 소비자가 많기는 하지만, 반드시 국산을 사겠다는 답은 10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과반수는 성능과 가격이 같다면 수입차를 사거나, 국산·수입을 가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소비자는 가격에 민감해 차이가 50만원 만 나면 약 1/2은 다른 차를 사겠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수입차를 염두에 두고 있는 소비자의 과반수는 국산차가 200만원이 저렴해도 수입차를 고집했다.
자동차전문 리서치회사인 마케팅인사이트(www.mktinsight.co.kr)는 2014년도 자동차 기획조사에서 2년 이내에 새 차를 살 계획이 있다는 5,414명의 운전자에게 ‘성능과 가격이 똑같다면 국산차와 수입차 중 어느 쪽을 사겠냐’고 물었다.
그 결과 ‘국산차를 사겠다’(어떤 경우에도 + 웬만하면)는 답이 44%, ‘수입차를 사겠다’ 26%, ‘특별히 가리지 않는다’ 30%로 나타났다. ‘어떤 경우에도 국산차를 산다’는 11%, ‘어떤 경우에도 수입차를 산다’는 5%로 나타나 원산지에 대해 큰 애착을 갖고 있는 소비자는 그리 많지 않았다.
수입차를 기준으로 보면 조건만 같다면 전체 구입의향자의 과반수(56%)가 수입차에 대해 거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가격은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의 하나로 50만원의 차이가 있으면 구입의향자의 50%는 마음을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조사에서는 구입의향이 가장 큰 모델이 50만원 비싸면 소비자의 50%는 두번째 모델로 마음을 바꿨다.
국내 자동차 소비자들이 국산차에 대해서 우호적일 것이라는 기대는 이제 접는 것이 옳다.
비싸도 수입차를 사겠다는 사람이 적지 않다. 수입차가 본격적으로 가격경쟁을 시작한다면 국산차의 입지는 크게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성능과 가격 모두에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