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 통신=박민창 ]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국내외 공조체계 구축을 지시한 가운데, 해남군의 선제적 해양쓰레기 감축 노력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15일 열린 직원 정례회의에서 “정부가 해양쓰레기 관리 및 제거사업에 강한 의지를 보이는 만큼, 해남군이 앞서 시행해온 관련 사업의 성과와 현황을 면밀히 정리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성과와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해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자”고 강조했다.
해남군은 지난 2015년부터 이동식 차량을 활용한 폐스티로폼 감용기를 운영하며 자원순환 사업에 박차를 가해왔다.
폐스티로폼은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주요 원인이자 해안 경관을 훼손하는 대표적 해양쓰레기로, 군은 지금까지 160만 개, 216톤에 달하는 폐스티로폼 부표를 처리했다.
감용기를 통해 압축 성형된 폐스티로폼은 사진액자,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되며, 이 정책은 SBS와 환경부가 공동 주최한 ‘2025 기후환경대상’에서 종합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양식장 부표 제로화를 위한 친환경 인증 부표 교체도 눈에 띈다. 해남군은 전체 660만 개 부표 중 60%에 해당하는 400만 개를 친환경 부표로 교체했으며, 2032년까지 100% 교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국비 외에 군비를 추가 투입해 어업인 부담을 20%까지 낮추고, 전국 최초로 80%의 지원율을 적용해 친환경 부표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폐어구 회수에도 해남군은 전국 최고 성과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부터 시행된 어구보증금제를 통해 올해만 통발어구 2만 4,000여 개를 반납받았으며, 수매비 및 반환포인트로 1,600만 원을 지급했다.
어구보증금제는 어업인이 사용한 어구를 반납하면 보증금을 환불해주는 제도로,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시행되고 있다.
오는 2026년부터는 자망어구와 식장 부표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명 군수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정부와 지자체, 국제사회가 함께 협력해야 해결할 수 있다”며 “어업인의 생존권과 직결된 이 문제를 해남군이 농어촌수도의 책임감으로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