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통신전북/김문기기자=2023,동학농민혁명 국제컨퍼런스 세계혁명도시 연대회의가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정읍시 덕천면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컨퍼런스홀에서 열린다.
정읍시는 동학농민혁명 세계화 작업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세계혁명도시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를 가져오고 있다.
올해 주제는 ‘근대혁명도시들의 기억과 연대:혁명과 사람(*2022년 주제는 혁명과 도시) 이다. 혁명 지도자들의 삶을 살피며 재조명하자는 취지다. 세계 각 도시 혁명 지도자들의 삶과 희생을 이해하고 그들이 꿈꾼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을 현재의 가치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여 도시는 주최도시인 정읍을 비롯 아르헨티나의 알타그라시아, 독일의 뮐하우젠, 아일랜드의 더블린과 코크, 중국의 난징 등 6개 도시다. 남미의 혁명가 체 게바라의 고향인 알타그라시아와 독일농민전쟁의 지도자 토마스 뮌처의 본거지였던 뮐하우젠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 방문이다.
새롭게 참가하는 도시는 아일랜드 독립운동의 영웅 마이클 콜린스의 고향인 코크와 중국의 태평천국운동의 중심지인 난징이다.
알타그리시아와 코크시에서는 시장이, 아일랜드 더블린에서는 부시장이 방문한다. 독일 뮐하우젠의 시장도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불가피한 사정으로 박물관장이 대신 방문한다.
또 고창과 완주, 부안, 김제, 논산, 장성, 장흥, 무안, 공주, 태안, 보은, 상주 등의 기념사업회 임원국 등 국내 동학농민혁명 도시의 단체들도 다수 참여한다.
정읍시는 첫날인 9일 참가 도시와 연달아 회의를 갖고 상호 간 교류와 연대는 물론 향후 공동사업을 논의한다. 개별회의 후에는 전체 참가 도시와 연석회의를 열어 세계혁명도시 연대회의의 순회 개최 등을 의논할 예정이다.
10일 열리는 주 행사는 국제포럼이다.
오전에는 홍상표 교수가‘1894년 황토현 전투의 재구성 : 역사지리학’을 발표하고 이어서 한국의 이광재 작가가 ‘전봉준의 혁명적 생애와 그의 나라’를, 독일 뮐하우젠 박물관 관장인 수잔 키미그 볼크너 박사가‘독일농민전쟁의 뮐하우젠과 토마스 뮌처’에 대해 발표한다.
오후에는 아일랜드 더블린시 도서관장인 브랜든 틸링이 ‘아일랜드 독립투쟁의 지도자 마이클 콜린스’에 대해, 체 게바라 연구가이자 게바라의 친 조카인 마틴 게바라 두아르떼가 ‘남미의 농민혁명과 알타그라시아의 체 게바라’, 헝수이(衡水)대학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원인 왕지원 박사가 ‘중국 태평천국 운동의 난징과 홍수전’에 대해발표한다.
마지막으로 코크시립도서관 관장인 데이비드 오브라이언이 ‘코크시의 마이클 콜린스 기념사업’에 대한 특별발표에 나선다.
포럼에 앞서 각 도시 대표와 발표자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