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와 부산경제진흥원(원장 송복철)은 지역 중소기업의 위기 극복과 수출 활성화를 위한 「수출입 애로 중소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 「수출입 애로 중소기업 바우처 지원사업」은 지역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향상과 해외 판로개척을 위해 시가 마련한 다양한 수출지원시책 중 하나다.
○ 시는 대내외적인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지역기업의 수출 애로를 선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바우처 지원 사업비를 지난해 본예산 2억 원에서 올해 3억 원으로 확대 편성했다.
□ 시는 급변하는 세계(글로벌) 통상환경에 대응해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기업당 지원 한도를 300만 원(2024년 200만 원)으로 확대한다.
○ 지역 수출 중소기업과 수출을 목적으로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 100여 개사를 선정해 수출 마케팅비, 국제운송비, 통·번역비 등 수출 활동 비용의 최대 90퍼센트(%)까지 3백만 원 한도로 지원한다.
□ 또한, 미국 관세 조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기업 애로 대응 등을 위해 ▲탄소중립 전환 지원 ▲관세대응 지원 등 2개 지원 분야를 신규 도입한다.
○ 올해 지원 분야는 ▲국제운송 ▲전시회·해외영업 지원 ▲홍보·광고 마케팅 ▲디자인·동영상 ▲통·번역 ▲해외규격인증·지재권 취득 ▲탄소중립 전환 지원 ▲관세대응 지원, 총 8개다.
○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국제환경규제가 무역장벽으로 대두되면서 지역의 영세한 중소기업들이 탄소감축 관련 규제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 따라, 올해 ‘탄소중립 전환 지원’ 분야를 신설해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한다.
○ 아울러, 미국 트럼프 신정부 관세정책에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수출 중소기업의 애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관세대응 지원’ 분야를 도입해 적극 지원한다.
○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올해 지원범위를 기존 해외규격인증에서 수출 성공의 선결 요건인 지식재산권 취득까지로 확대한다.
□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trade.bepa.kr)을 통해 오는 3월 17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 4월부터 11월까지는 매월 10일까지 신청하면 되고, 시는 심사를 통해 선정된 기업에 매월 말까지 지원금을 산정·지급할 계획이다.
○ 자세한 사항은 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에서 공고문을 참조하거나 부산경제진흥원(☎ 051-600-1828)으로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다.
□ 김봉철 시 디지털경제실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기업의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수출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세계 경제의 복합위기와 불확실성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 수출기업의 고충을 해소하고 수출을 활성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우리시는 앞으로도 부산 경제의 버팀목인 지역 수출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운영과 성장을 위한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