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난해(2024년) 부산시 어업 총생산량이 72만 8천 톤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6퍼센트(%) 증가, 생산금액은 2조 1천1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1퍼센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 ▲원양어업은 47만 9천398톤 ▲해면양식 생산량은 4만 3천397톤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16.7퍼센트(%), 12.9퍼센트(%) 증가했으며, ▲연근해어업(연안+근해어업) 20만 4천564톤 ▲내수면어업 1천451톤으로, 이는 각각 전년 대비 14.4퍼센트(%), 39.3퍼센트(%) 감소했다.
□ 원양어업 생산량은 47만 9천 톤으로, 전년 생산량(41.1만 톤)과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3.9만 톤)에 비해 각각 16.7퍼센트(%), 9.2퍼센트(%) 증가했다.
○ 대표적인 원양어업 어종인 가다랑어류의 경우 태평양 해역 어장 확대와 조업 횟수 증가에 따라 생산량이 전년 대비 23.5퍼센트(%) 증가했다. 반면 선사들의 가다랑어 어획 집중에 따라 황다랑어와 눈다랑어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6.6퍼센트(%), 11.3퍼센트(%) 감소했다.
□ 해조류 양식(2024년 기준 99.6%) 중 김은 최근 겨울철 고수온에 따른 조기산 김 생산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0.3퍼센트(%) 증가했으며, 미역과 다시마는 작황 호조에 따라 전년 대비 각각 17.7퍼센트(%), 35.8퍼센트(%) 증가했다.
○ 올해(2025년) 양식업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미역 등 해조류 양식의 경우 해황이 안정적이므로 작황이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고수온 등 기후변화와 가격변동 등 불안 요인도 잠재하고 있다.
○ 시는 양식수산물 생산 안정화를 위해 기반 시설(양식기자재, 활성처리제 등) 지원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양식 환경변화 대응력 강화를 위해 고수온 대응 지역 적합 양식품종 개발과 스마트양식 기술 연구 등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