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은 2026년도 정부 예산안을 올해(9,649억 원)보다 15% 늘어난 총 1조 1,131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1일 밝혔다. 우주청은 이번 예산을 통해 ‘우리 기술로 K-Space 도전’이라는 국정과제 이행에 속도를 내고, 본격적인 예산 1조 원 시대를 열었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다.
예산안은 △우주수송 역량 강화와 신기술 확보 △위성 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 △도전적 탐사로 미래 우주 먹거리 창출 △미래 항공기술 선점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 △우주항공 전문인재 양성 및 실용적 외교 등 6대 분야에 집중 투자된다.
발사체 분야에서는 누리호 5차 발사와 차세대 발사체 개발이 추진되며, 궤도수송선 실증사업(30억 원)이 새로 시작된다. 위성 분야는 초고해상도 위성 핵심기술 개발(62억 원 신규)에 착수하고, 6G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153억 원)과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도 강화한다.
탐사 분야는 달탐사 2단계(달착륙선) 사업에 올해보다 359억 원 늘어난 809억 원을 투입하며, 우주 무인 제조·지구 재진입 기술 실증도 새로 시작한다. 미래 항공기술 분야에는 전기·친환경 항공기와 엔진·첨단 소재 개발, 성층권 드론 실증 등 총 511억 원을 투자한다.
민간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올해 대비 119.7% 증가한 1,698억 원이 편성됐다. 특히 뉴스페이스 투자 지원 예산이 35억 원에서 1,000억 원으로 대폭 확대돼, 기업 성장단계별 안정적 투자 환경을 뒷받침한다. 또한 우주기술 상용화 실증(5억 원)과 AI 기반 위성정보 활용 서비스(10억 원) 확산 사업도 새로 추진된다.
아울러 우주항공 전문인재 양성과 국제 협력 예산은 2,549억 원으로, 현장 맞춤형 인재 육성과 수출 기회 창출을 뒷받침한다.
윤영빈 청장은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 사업들을 처음으로 편성했다”며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 성실히 임해 국정과제 이행과 우주항공 강국 도약을 위한 예산이 최종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