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과급 문제로 갈등을 빚던 SK하이닉스 노사가 약 3개월간의 임금교섭 끝에 극적으로 합의를 이뤘다. 성과급 상한선인 ‘기본급의 1000%‘를 폐지하고, 매년 영업이익의 10% 전액을 성과급 재원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노사는 이날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임금 교섭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고, 이천과 청주캠퍼스에서 구성원에게 이에 관해 설명했다.이번 합의안에는 기존 PS 지급 한도(최대 1000%)를 폐지하고, 매년 영업이익의 10% 전체를 재원으로 삼아 PS 산정 금액의 80%는 당해 지급, 나머지 20%는 2년에 걸쳐 이연 지급(매년 10%씩)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기존에도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조항은 있었지만, PS 상한 기준에 따라 영업이익의 10%가 모두 활용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노조는 재원인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전액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창사 이래 처음 파업 위기를 맞는 등 사측과 갈등을 빚었다.이번 주 중 잠정합의안이 최종 확정될 경우, 올해 연간 영업이익을 토대로 내년 초 지급 예정인 PS부터 새로운 성과급 기준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 노사는 올해 임금 6.0% 인상에도 잠정 합의했다.증권가에 따르면 올해 SK하이닉스 영업이익 전망치는 최대 39조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예상대로라면 PS 재원은 약 3조7000억원(10%)이다. 상한선 폐지로 10% 재원이 모두 사용될 가능성도 커졌다.개인별 연차나 성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단순 계산으로 SK하이닉스의 전체 구성원이 3만3000여명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구성원 1인당 총 1억1000만원 수준의 성과급(PS)을 받게 되는 셈이다.또 바뀐 기준에 따라 내년 초에 80%(약 8800만원)를, 2027년과 2028년에는 1100만원씩 나눠 받는다. 이번 성과급 기준은 향후 10년간 적용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