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2026년도 예산과 기금 총지출을 올해보다 7.5% 늘린 15조9천160억원으로 편성하면서,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신규 사업들을 대거 포함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와 동일한 전기차 구매보조금 단가를 유지하는 한편, 전환지원금(1,775억원)을 신설해 내연차 전동화를 촉진한다. 여기에 더해 운수업체 초기 부담을 줄이는 전기·수소버스 구매융자(737억원),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충전인프라펀드(740억원)도 새로 마련됐다. 전기차 화재에 대비해 차주 배상책임을 보장하는 전기차 안심보험(20억원)도 신설됐다.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기열 히트펌프 기반 난방 전기화 사업(90억원)**이 도입됐다. 이는 기존 화석연료 기반 저녹스보일러 지원 사업을 폐지하고 그 재원을 재투자하는 대표적 지출 구조조정 사례라는 설명이다.
기후재난 대응도 강화된다. 국가하천에 설치된 CCTV 가운데 1,000곳에 AI 자동감시 기능을 탑재하고, 대심도 빗물터널(199억원)과 지하방수로(109억원) 신규 투자도 이뤄진다. 전국 침수우려지역에는 내년 안으로 맨홀 추락방지시설 20만7천개가 설치될 예정이다.
또 전국 22개 국립공원에 IoT 기반 산불감지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고,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를 위해 국립공원 숲 인프라 조성 및 촬영·메이크업 지원(35억원)도 신설됐다.
환경부는 “이번 신설 예산안은 기후위기 대응과 국민 체감형 안전·복지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 보완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